c:mrm:2016:schedule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Next revision | Previous revision | ||
| c:mrm:2016:schedule [2016/11/17 01:41] – [Week 11: (Nov 10, 14)] hkimscil | c:mrm:2016:schedule [2018/03/08 00:24] (current) – [Week 1: Introduction and Theories and Methods (Sep 1, 5)] hkimscil | ||
|---|---|---|---|
| Line 23: | Line 23: | ||
| * [[wp> | * [[wp> | ||
| * Milgram' | * Milgram' | ||
| + | * [[:Milgram Experiment]] | ||
| * [[wp> | * [[wp> | ||
| * [[https:// | * [[https:// | ||
| Line 452: | Line 453: | ||
| <WRAP half column> | <WRAP half column> | ||
| ==== Concepts and Ideas ==== | ==== Concepts and Ideas ==== | ||
| + | * [[:Social Network Analysis]] | ||
| + | * [[: | ||
| + | * [[:Text Mining the Complete Works of William Shakespeare]] | ||
| + | * [[:Text Mining example with Korean Songs]] | ||
| + | * [[:Factor Analysis]] | ||
| </ | </ | ||
| <WRAP half column> | <WRAP half column> | ||
| Line 463: | Line 469: | ||
| <WRAP half column> | <WRAP half column> | ||
| ==== Assignment ==== | ==== Assignment ==== | ||
| + | Quiz 03: | ||
| + | 강의 내용 | ||
| + | * from Week 06 | ||
| + | * Sampling . . . | ||
| + | * Research Question | ||
| + | * Hypothesis | ||
| + | * Conceptualization | ||
| + | * 지표, 차원 | ||
| + | * Level of measurement: | ||
| + | * NOIR | ||
| + | * Lickert | ||
| + | * Semantic Differential | ||
| + | * 쌍대비교척도 | ||
| + | * Reliability | ||
| + | * Validity | ||
| + | * Research Design | ||
| + | * Survey | ||
| + | * Experiment | ||
| + | * Unobtrusive Research | ||
| + | * Qualitative | ||
| + | * Naturalism -- [[: | ||
| + | * Ethnomethodology | ||
| + | * Grounded Theory | ||
| + | 텍스트북 | ||
| + | * 5장 | ||
| + | * 약사 | ||
| + | * non-probability | ||
| + | * probability | ||
| + | * poputation and sample frame | ||
| + | * sampling | ||
| + | * CLT + sampling distribution + sampling error | ||
| + | * 6장 | ||
| + | * 2. 존재하는 것의 측정 | ||
| + | * 3. 개념화 | ||
| + | * 6. 측정의 질 | ||
| + | * 7장 | ||
| + | * 2. 지수 대 척도 | ||
| + | * 3. 지수의 구성 | ||
| + | * 4. 척도의 구성 | ||
| + | * 8장 | ||
| + | * 2. 적합한 주제 | ||
| + | * 3. 질문작성 | ||
| + | * 4. 설문지 구성 | ||
| + | * 5. 자기기입식: | ||
| + | * 8. 온라인서베이 | ||
| + | * 9. 서베이방법들 간의 비교 | ||
| + | * 10. 장단점 | ||
| + | * 11. 이차분석 | ||
| + | * 9장 | ||
| + | * 2. 적절한 주제 | ||
| + | * 3. 고전적 실험 | ||
| + | * 4. 피험자 선정 | ||
| + | * 5. 다양한 실험설계 | ||
| + | * 7. 대안적 심험상황 | ||
| + | * 8. 장점과 단점 | ||
| + | * 10장 | ||
| + | * 내용분석 | ||
| + | * 비교역사분석 | ||
| + | * 11장 | ||
| + | * 2. 적절한 주제 | ||
| + | * 3. 고려사항 | ||
| + | * 4. 파라다임들 | ||
| + | * 5. 실행 | ||
| + | * 6. 장점과 단점 | ||
| </ | </ | ||
| Line 469: | Line 539: | ||
| ===== Week 16: Final Period | ===== Week 16: Final Period | ||
| Dec 15: Exam Period | Dec 15: Exam Period | ||
| + | '' | ||
| + | <WRAP group> | ||
| + | <WRAP third column> | ||
| + | 범위 | ||
| + | [[:types of error]] | ||
| + | 7장 | ||
| + | 2. 지수 대 척도: 지수와 척도 차이점 | ||
| + | 4. 척도의 구성: | ||
| + | * [[:Borgadus Social Distance Scale|보가더스 사회적 거리 척도]] | ||
| + | * [[: | ||
| + | * [[:Likert Scale]] | ||
| + | * [[:Semantic Differential]] | ||
| + | * [[:Guttman Scale]] | ||
| + | 8장. 서베이 조사 | ||
| + | 2. 적합한 주제 | ||
| + | 3. 질문을 위한 지침 | ||
| + | * 모두 | ||
| + | 4. 설문지 구성 | ||
| + | * 일반설문지 형태 | ||
| + | * 조건부 질문 | ||
| + | * 행렬식 질문 | ||
| + | * 문항의 순서 | ||
| + | * 지시문 | ||
| + | 5. 자기기입식: | ||
| + | 8. 온라인서베이 | ||
| + | 9. 서베이방법들 간의 비교 | ||
| + | 10. 장단점 | ||
| + | 11. 이차분석 | ||
| + | </ | ||
| + | <WRAP third column> | ||
| + | 9장 | ||
| + | 2. 적절한 주제 | ||
| + | 3. 고전적 실험 | ||
| + | * 독립, 종속변수 | ||
| + | * 사전, 사후조사 | ||
| + | * 실험, 통제집단 | ||
| + | 4. 피험자 선정 | ||
| + | * 확률표집 | ||
| + | * 무작위화 | ||
| + | 5. 다양한 실험설계 | ||
| + | * 실험설계 | ||
| + | * 타당도 문제 | ||
| + | * 실험예시 | ||
| + | 7. 대안적 심험상황 | ||
| + | 8. 장점과 단점 | ||
| + | 10장 내용분석 | ||
| + | 2. 내용분석 | ||
| + | * 적절한 주제 | ||
| + | * 표집 | ||
| + | * 분석단위 | ||
| + | * 표집기법 | ||
| + | * 내용분석의 코딩 | ||
| + | * 현재/ | ||
| + | * 내용분석의 실제 사례 | ||
| + | 3. 기존 통계자료의 분석 | ||
| + | * 뒤르켐의 연구 | ||
| + | * 세계화 | ||
| + | * 분석단위 | ||
| + | * 타당도의 문제 | ||
| + | * 신뢰도의 문제 | ||
| + | 4. 비교역사분석 | ||
| + | * 예 | ||
| + | * 분석방법 | ||
| + | </ | ||
| + | <WRAP third column> | ||
| + | 11장. 현장연구 (Field Study) | ||
| + | 2. 적절한 주제 | ||
| + | 3. 고려사항 | ||
| + | * 관찰자의 역할 | ||
| + | * 관찰 대상과의 관계 | ||
| + | 4. 파라다임들 | ||
| + | * 자연주의 | ||
| + | * 민간방법론 | ||
| + | * 현장기반이론 | ||
| + | * 사례연구 | ||
| + | 5. 실행 | ||
| + | * 준비 | ||
| + | * 질적면접 | ||
| + | * 포커스그룹 | ||
| + | * 관찰기록 | ||
| + | + | ||
| + | 각 조의 발표 내용 일부 | ||
| + | + | ||
| + | * [[:Social Network Analysis]] | ||
| + | * [[: | ||
| + | * [[:Text Mining the Complete Works of William Shakespeare]] | ||
| + | * [[:Text Mining example with Korean Songs]] | ||
| + | * [[:Factor Analysis]] | ||
| + | </ | ||
| + | </ | ||
c/mrm/2016/schedule.1479346879.txt.gz · Last modified: by hkimsci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