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송의 특수성 ====== - 공공재 특성 (public goods) - 비경합성(non-rivalry): 어느 한 소비자의 소비가 다른 소비자의 소비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끼리 경쟁하지 않아도 소비가능 -> 시장의 자발적인 생산이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정부나 기관의 개입이 필요하게 됨 - 비소모성 혹은 비배제성(non-exclusivity): 소비가 재원의 고갈을 부르지 않음. 혹은 소비자가 가격을 지불하지 않더라도 미디어(콘텐츠) 이용을 배제하기 어려움. - 경험재 * 품질의 불확실성: 상품의 품질이 규격화되어 있지 않음 * 시장예측의 불확실성: 생산자입장에서도 시장에 대한 예측이 어렵게 됨 - 이중상품시장(dual product market) * 방송프로그램 판매시장 (대 시청자) * 수용자 판매시장 (대 광고주) - 규모의 경제 * 생산규모가 커질수록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는 경제구조 * 대부분의 공공재 산업에서 나타나는 경제적 특성으로, 생산에 필요한 초기비용은 많이 들어가지만 초기 투자 이후에 추가 비용이 많이 발생하지 않음 * 방송산업 역시 개국 초기에는 설비, 인력 등 많은 투자비용이 발생하지만, 시청자가 늘어날수록 생산에 필요한 평균비용은 점차 하락 - 창구효과(window effect) * OSMU의 다른 말 * 하나의 프로그램을 서로 다른 시점에서 서로 다른 채널을 통해 공급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전략적인 유통방식 * 직접수익: * 국내판권 * 해외판권 * 제작지원, 광고 * 협찬, PPL * 다운로드 * 파생상품 * OST 등의 음원 * DVD * 게임 * 캐릭터 * 촬영지 관광수익 * 프랜차이즈 등등 - 외부효과 * 특정한 경제활동이 뜻하지 않게 다른 사람에게 이익 혹은 손해를 가져다 주면서도, 이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지 않는 것 (시장 원리에서 벗어난 부분에서 발생하는 경제적·사회적 이익이나 손해) * 방송산업은 공공재라는 상품의 속성으로 인해 다양한 외부효과가 발생하는 구조 * 예) * 훌륭한 방송 다큐멘터리 – 시청자들에게 감동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생들을 위한 교육 자료로 이용 가능 * 폭력적 프로그램 - 어린이, 청소년에게 부정적 학습효과 발생 가능 ====== 방송과 관련된 환경 ====== - 정부 * 방송허가권, 방송면허(재면허) 심사 * 방송통신위원회 - 방송정책 및 심의, 통신서비스 정책 및 규제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 편성 및 방송내용 심의 *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https://www.kobaco.co.kr/websquare/websquare.jsp?w2xPath=/kobaco/common/index.xml|Kobaco]]) - 광고규제 - 광고 * 방송사 수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재원 * 시청자 - 광고주의 브릿지 역할 - 신규매체 - 기타 * 시민단체 및 전문가 집단 * 프로그램 제작 및 유통시장 ====== 방송사 조직 ====== - 제작및 편성부서: 제작국, 편성국 - 경영및 관리부서: 경영국 - 기술부서: 기술국 ===== 제작국 ===== 드라마, 예능, 교양 보도: 뉴스프로그램 시사: 탐사보도 프로그램 스포츠: 뉴스 및 중계 미술부 * 미술감독 * 세트디자이너 * 수품 담당자 * 무대전기효과 담당자 * 의상/분장 담당자 제작영상부 * 카메라 부서 인력 * PD, AD, FD * 작가: * 드라마 작가 * 구성작가: 쇼, 코미디 작가 / 다큐멘타리 작가 / 교양 프로그램 작가 * 리포터 ===== 편성국 ===== 편성기획: 장단기 프로그램 편성 기획 외주: 국내외 프로그램 구매, 발주 및 교환업무 아나운서: 아나운서 배치 및 교육 ===== 경영국 ===== 광고: 광고 판매 ㅂ및 수주관리, 광고주 관리 경영지원: 시청률 조사, 재무회계, 인사 홍보: 프로그램 홍보 및 이벤트 ===== 기술국 ===== 스튜디오: 스튜디오 장비 및 운용 유지 송출: 송신소, 위성, 관련 송출기기 담당 현장: 현장 중계팀 관리 {{ kbs_org_str.jpg?400 }} {{ mbc_org_str.jpg?400 }} {{ sbs_org_str.jpg?400 }} ===== 인적구성 ===== - 제작진 (staff): * 제작국 인력: 책임 PD (executive PD) * 외주인력: 외주PD, FD, 작가 * 연예인 소속 인력: 코디네이터 * 분장 및 의상담당 * 방송작가 * PD: * **제작자로서** PD는 콘셉트(concept) 개발, 자료 수집, 프로그램 기획과 같은 업무에서 예산 관리, 제작인력 통솔, 출연진 섭외, 제작일정 조정, 프로그램 홍보에 이르는 전반적인 업무 수행 * **연출자로서** PD는 프로그램의 아이디어, 대본을 방송 메시지로 영상화하는 책임을 지며, 프로그램 아이디어·형식·줄거리를 세부적으로 확대∙발전시키는 업무 수행 * 무대감독: * 연출자의 지시에 따라 스튜디오에서 이루어지는 제작을 진행 *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AD가 무대감독 병행 * 촬영 현장에서 출연자의 상태를 점검하고, 프로그램에 필요한 각종 소품과 의상 등을 확인하며, 연출자의 지시에 따라 녹화의 시작과 중지를 진행 - 출연진 (cast): 연예인 * 드라마 등: 탈랜트 * 개그 등: 개그맨 * 진행 등: 아나운서 (편성국) - 기술진 (crew): 기술국 인력 * 기술감독 * 음향감독 * 조명감독 * 카메라감독 * 영상감독 * 음악(효과)감독 * 미술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