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eek01: Introduction and Theories and Methods (March 16, 18) ===== ==== Concepts and Ideas ==== [[https://youtu.be/wUvt0Ae8O9I|Online Lecture Content 001]] [[https://youtu.be/J8e5dEH8K_Q|Online Lecture Content 002]] [[https://youtu.be/yjTMak6VYdE|Online Lecture Content 003]] [[https://youtu.be/S9v_1TeI2AU|Online Lecture Content 004]] [[https://youtu.be/Bj4cbQlMGvk|Online Lecture Content 005]] [[https://youtu.be/HJIt-lDIZco|Online Lecture Content 006]] [[:Research methods lecture note]] 에서 [[:Research methods lecture note#가설작성|가설의 작성]] 부분까지 읽어 올 것. 다음 주 주말에 퀴즈 봅니다. Introduction Science and social science Paradigms, Theory and social research Read [[:Theories]] and [[:Research Methods Lecture Note]] * Natural science and social science * Science way of knowing -- scientific knowledge * History of media research, a brief * Theory - philosophical way of explanation * plato's idea * empiricism * John Locke * David Hume * observation and logic ==== Ethics ==== * **No harm to participants** * Informed Consensus * Anonymity and confidentiality * Deception and debriefing * IRB (institutional review boards) * Laud Humphreys' study [[:Tearoom Trade]] * [[wp>Laud Humphreys]] * Milgram's study (Human obedience) * [[:Milgram Experiment]] * [[wp>Milgram experiment]] * [[https://www.ocf.berkeley.edu/~wwu/psychology/compliance.shtml|THE MILGRAM EXPERIMENT]] * [[:Tuskegee experiment]] ==== Assignment 1 ==== ===== Week02: Research Methods and Theories, cont. (March 23, 25) ===== https://youtu.be/fa50wHuZcrU : 007 https://youtu.be/8HGbASucoCs : 008 https://youtu.be/of0mrDE2E2I : 009 https://youtu.be/7t-eghtCOIw : 010 https://youtu.be/El8zs0YEmfg : 011 ==== Concepts and Ideas ==== * from the previous week + Book (Babie's) * Human inquiry and science * In general, a scientific assertion must have logical and empirical support: It must make sense, and it must not contradict actual observation. . . . Epistemology is the science of knowing; methodology (a subfield fo epistemology) might be called the science of finding out. This book presents and examines social scientists find out about human social life. * 실제에 대한 물음? * Reality or realities (실제와 실제(복수)) * objectivity vs. subjectivity * inter-subjectivity * 사회과학의 기반 * 이론(theory)에 기반한 * 철학이나 신념이 아닌. . . . 3번째 approach의 경우에는 이것이 흔들릴 수 있음 * 규칙성, 사회적 규칙성 (Regularities and social regularities) * 물리학적 규칙성: law of physics: 만류인력의 법칙 * 사회학에서도 규칙성이 존재 그러나, * 예외 또한 존재. 따라서 사회적 규칙성은 확률적으로 살펴볼 수 밖에 없다는 주장 * 집합적 규칙성 (Aggregates): * e.g., 미국에서의 출생률 * [[:Variables]](s) * Study of ideas and concepts and constructs * Study of variables *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 {{:variable_explanation.png}} * [[:Types of Variables]] * [[:Level of Measurement]] * Nomothetic explanation . . . regularities * Determinism vs. Free Will * Induction (연역) vs. deduction (귀납) * {{:science_research_methods.jpg}} * Qualitative vs. quantitative * Scientific vs. . . . . (phenomenonological?) * Ethics * No harm to subjects * Confidentiality vs. Anonymity * Deception * Report (to ...) * System ... IRB ==== Class activities ==== - 폭동 중 일탈행동에 대한 현장연구를 실시하였다. 경찰이 약탈을 목격한 사람들의 신원을 밝히라고 요구하였다. 조사자는 공모자로 체포될 위험을 피하기 위해 그 요구를 들어주었다. - 조사 프로젝트 보고서의 최종본을 완성한 후, 연구자는 2000명의 서베이 면접자 중 25명이 면접원에 의해서 꾸며졌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 저자는 방대한 분량의 연구를 보호하기 위해 이 정보를 폐기, 제외하고 책을 발간하였다. - 연구자들은 어버이연합의 회원 목록을 입수하였다. 그들은 이들에게 접촉하여 "공공여론"을 조사하기 우해서 일반 모집단에서 "무작위"로 선출되었다는 설명을 하였다. - 연구자가 급진적 정치집단을 연구하기 위해서 그 집단에 가입하였다. 그 집단이 다음과 같은 계획을 한다면 연구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 불법적이지만 평화적인 시위 - 사람이 없는 것이 확실한 시간에 공중건물 폭탄폭파 - 공무원 살해 - 황우석박사를 옹호하는 책이나 문서 등을 찾아서 읽고, - 자신이 받아들일 수 있는 것들로 무엇이 있는지 - 받아들일 수 없는 것들로 무엇이 있는지를 말하라 ==== Key terms ==== * attribtues * deduction * induction * nomothetic * dependent variable * idiographic * theory * independent variable * variables ==== Assignment 2 ==== ===== Week 3: Research Methods and Theories, cont. (March 30, April 1) ===== ==== Notes ==== * [[./Group Membership|조원 확정]] * 조원구성과 관련해서는 [[https://www.youtube.com/watch?v=sZTMR26bKiU|3주차 강의 동영상 12 참조]] [[https://www.youtube.com/watch?v=wUvt0Ae8O9I&list=PLyh-w56EySN-vWPNYNlUML9WYUSgOLnDI|Media Research Methods -Youtube Playlist]] 에서 3주차 강의 동영상 12, 13, 14, 15 입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sZTMR26bKiU| MRM 012: Grouping]] 21:33 * [[https://www.youtube.com/watch?v=ieDjDI_jWa8| MRM 013: Situation based approach, e.gs]] 16:54 * [[https://www.youtube.com/watch?v=tM5Nb1f7Vmg| MRM 014: Enacted based approach]] 15:12 * [[https://www.youtube.com/watch?v=vhT0-auI6Fg| MRM 015: Summing up]] 9:06 ==== Concepts and Ideas ==== * 파라다임: 관찰이나 추론을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근본적인 모델이나 준거틀 * Thomas Khun (1970): 파라다임 * 중요하고 실질적인 변화에 저항하는 자기방어적인 틀 형성으로 * 이상성(anomaly)이 축적되는 형태로, 그리고 종국에는 옛것을 새것이 대체하는 형태로 ... * 과학혁명의 구조(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 * 거시 대 미시 이론 * 실증주의 (positivism), A. Comte * 과학적 접근법을 이용한 사회연구 * 사회진화론 * 종의기원 (C. Darwin) * Herbert Spencer (1820-1903) * 갈등 파라다임 * K. Marx (1818-1883) * Historical Materialism * G. Simmel 등 소규모 갈등관계 * M. Chossudovsky, 1997 연구: IMF가 선진국 다국적 기업의 이익을 위해서 개발도상국이 이용되는 것을 보여줌 * 상징적 상호작용 (symbolic interactionism) * G. Herbert Mead * Socialization through social interaction * Generalized others * 민간방법론 * Ethno-methodo-logy * H. Garfinkel * 구조기능주의 * 유기체(organism): 항상성 유지, 발전(성장) * 합리적 객관성의 재고 * Ash의 실험 * 객관성에 대한 의심 * 탈과학적 사고방식 -- * post-structuralism * de-constructionism * de-structuralism * post-modernism ==== Assignment ==== ==== Class Activities ==== ===== Week 4: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April 6, 8) =====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yh-w56EySN-vWPNYNlUML9WYUSgOLnDI|Media Research Methods Play list]] 16, 17, 18, 19, 20, 21 * [[https://youtu.be/O4EmrzOnMTA|Media Research Methods 16, week 04]] * [[https://youtu.be/vcchVDiH7YI|Media Research Methods 17, week 04]] * [[https://youtu.be/Idj39PlTXI8|Media Research Methods 18, week 04]] * [[https://youtu.be/nPgY7b1n_jA|Media Research Methods 19, week 04]] * [[https://youtu.be/8RDi9xtvNEY|Media Research Methods 20, week 04]] * [[https://youtu.be/VOMpYsdMCFs|Media Research Methods 21, week 04]] ---- * 다음 주 5주차 수요일 (두번째 클래스) 실시간 모임 * via [[https://smart.newrow.com/#/room/hgz-320|MRM: Live room]] * 그룹구성원과 커뮤니케이션 ---- * 그룹활동 * Attention: 그룹과제는 반드시 그룹활동을 통해서 수행해야 함 * 개인이 한 사람씩 돌아가면서 하는 등은 발견시 많은 감점 * 각 개인참여로 완성되는 과제라도 일관성 혹은 통일을 이루어야 함 * ABB 위키에 그룹활동 결과 (과제 등 업로드) * ABB 저널에 그룹활동 내용 일지 기록 * 지정된 그룹활동 (가령, group assignment week 06) 중 참여한 사람과 비참여한 사람 * 기말까지의 기록으로 그룹개인 평가 * 마지막에 peer review * 각 구성원 평가 * 점수와 (1-10) * 코멘트로 평가 ---- ==== Textbook ==== * 사회이론의 요소 * 사실을 모으는 관찰 observation for facts * laws and principles * 보편적 확실성 in natural science * but, in social science {{http://commres.net/wiki/_media/science_research_methods.jpg?400}} * 이론: 특정한 생활양식과 연관된 관찰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 과학 논리체계 * Theories 이론 * 가계소득 수준과 청소년 비행 간의 관계 * 연구문제: 가계소득 수준과 청소년 비행 간의 관계 * 개념: 가계소득 수준 (socio-economic status) | 청소년 비행 * 가설: [[:hypothesis]] * 변수(변인): [[:variables]] * 가설: 위의 개념 간의 관계를 이론에 맞추어 선언. 이 때의 개념은 측정가능한 것으로 만들어져야 하는데 이를 조작화라고 함 * [[:Operationalization]] 조작 * Observation 관찰 * 연역, 귀납 * 위는 연역의 예 * 귀납의 예 * 마리화나 예 * 흡연자와 비흡연자: 동등한 학업성적, 학교활동, 대학생활적응 * But, * 여성 < 남성 * 동양계 < 비동양계 * 집 < 자취 * 사회구속이론 (긴장이론) 도출 ==== Concepts and Ideas ==== * 가설 * 연역 * 귀납 * 이론 * 조작화 * 조작적 정의 * 도서관 사용 * endnote 혹은 refworks ==== Assignment 4 ==== ===== Week 5: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is II (April 13, 15) ===== * https://youtu.be/4xB-XipaXNg : Level of Measurement * https://youtu.be/5XmPotGh79c : Research Process and Proposal * https://youtu.be/cpZow7rO_Yk : Group Assignment * https://youtu.be/7qZMXqPC2bY : Research Ethics ==== Concepts and Ideas ==== * Nomothetic Explanation 법칙정립적 설명 * 상관 - 관계 with NO [[:spurious relationship]] (허위관계) * 인과관계의 정립/성립 [[:causal relationship in social science|사회과학에서의 인과관계]] * [[:Unit of analysis]] ([[:분석단위]]) * 개인, 집단, 조직, 사회적상호작용, 사회적유물(가공물), * [[:Ecological Fallacy]] / [[:Individual Fallacy]] * 연구 프로젝트 * 개념화 * 조사방법선택 * 조작화 * 모집단과 표집 * 관찰 * 자료처리 * 분석 * 적용 * 연구계획서 * 문제 혹은 목적 * 문헌검토 * 연구대상 * 연구문제 혹은 * 가설 * 측정 * 자료수집방법 * 분석 * 예상결과 * 시간계획 ==== Class Activities ==== * Using the library to search research articles * Using the refworks ==== Assignment ==== 그룹과제 * 연구프로포잘 작성을 위한 준비 * 연구관심사 및 연구문제의 도출 (그룹 discussion을 통해서 통일하시기 바랍니다). * 관련 논문 찾기 (일인당 최소 2개 이상) * 학술DB를 이용하여 관련 이론을 찾으시기 바랍니다. * 논문을 요약하고, 관련된 이론 소개하기 * 일단 이론을 찾으면, 이론에 대한 설명을 더 찾아서 보강하여 자신만의 생각으로 정리하여 설명해야 합니다. 설명에는 출처를 밝히시기 바랍니다. * 더하여 이 이론이 왜 그룹의 학문적 관심사와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언급해야 합니다. * 6주차 목요일까지 완성하여 abb 그룹과제로 업로드 필요 (아래한글 파일은 안됨) * abb를 직접 사용하거나, MS Word를 이용하여 파일을 만들고 업로드 할 것 추가 사항 * 심리학, 사회학, 사회심리학, 신문방송학, PR, 광고, 인지심리학 등의 분야를 중심으로 살펴볼 것 * 이론에 대해서 충분히 리뷰를 (선행연구조사) 수행한 논문을 찾을 것 (5장짜리 논문 등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free riding (공짜편승) journal = 권한, 일지작성 peer review = group memebership 간에 평가 ===== Week 6: Research (April 20, 22) ===== 6주차 온라인 수업내용 https://youtu.be/sfHuVgx2y5I : 리서치프로젝트플랜 (4장) https://youtu.be/rJdmkh38728 : 샘플링 (표집) https://youtu.be/Yo4Ilqm1m0o : 평균, 분산, 표준편차, 자유도, 확률이론, 표준오차, 샘플평균의 표준편차, 중심극한정리 ---- 오늘 할 일 (tasks) * MRM: Live room 접속 * 간단한 테스트 및 출석체크 * 과제설명 및 질문/응답 * 고욱교수님 수업 중 미디어심리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음 * 다른 교양 수업 중 심리학, 사회학 수업 중 인간, 조직, 사회, 구조 등에 대한 수업을 들었으면 자신의 관심분야에 대한 이론들에 대해서 파악하고 있을 텐데 여기서 시작을 해도 좋을 듯. 가령 * selective exposure theory에 기반해서 그룹이나 집단의 의견이 양극화 된다는 연구가 있을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음. 특히 요사이 유튜브나 페이스북 등은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택하는 콘텐츠 혹은 정보 외에도 정보제공회사가 기술을 이용하여 (customization, big data analysis, recommendation system 등등) 특정 방향의 콘텐츠 만을 유통하고 이것으로서 세상을 형성할 수 있음. * 또한 이와 관련하여 cultivation theory라는 것도 있을 수 있음 (매스미디어 폭력물 시청이 세상이 어떻다는 것을 심어준다는 이론). Cultivation 뉴미디어와 상호작용 하여 세상을 보는 관점이나 시각을 (특히 정치적 시각?) 특정 방향으로 심어준다고 볼 수 있음. * 그렇다면 * "선택적노출이론 (혹은 선택노출이론) + 양극화 + 의견"과 같은 키워드로 dbpia 등을 찾고 * "배양이론 + 양극화 + 유튜브" 등등의 키워드로도 찾아 볼 수 있을 듯 * "선택적노출 + 극화 + 태도 + 뉴미디어" . . . Agri-culture = Agri 기른다. horti-culture = horti 기른다. 풀 = grass cultivation = 배양이론 배양효과 ---- benefit = 이익 bene - fit = 좋은 선의의 benefitial benevolent = 좋은 + volent = will (의지) benedict = 좋은 + dict = 말 ---- malevolent = 나쁜의지의, 악한 malfunction = malnutrition = malpractice = ==== Concepts and Ideas ==== * Sampling 표집 * 역사: * Alfred M. Landon | Literary Digest | Presidential candidate | 1916년 여론조사 (Woodrow Wilson vs. Charles Hughes) 예측 | 이후 매 4년마다 정확한 예측 | 1936년 예측: 전화번호부 + 자동차소유주 명부 -> 1천만명 중 2백만명 응답 (22% 회수율 혹은 응답률) | Landon 57 vs Roosebelt 43 | Roosebelt 61 | * [[:Sampling]] * Sampling frame see [[:Sampling]] * Thomas Dewey * Thomas Dewey * George Gallup | quota sampling (할당) | American Institute of Public Opinion | 36, 40, 44년 예측 | 1948. Thomas Dewey vs. Harry Truman | * 상승추세 중 조사중단 | **sampling representativeness** * Nonprobability, see [[:Sampling]] * [[:Convenience]]: over-generalization (과잉일반화) * Judgmental (판단) | Purposive (유의) * [[:Snowballing]] * [[:Quata]] * Probability * [[:Representativeness]] (대표성) * [[:Equal Chance of Being Selected]] (ECBS) = EPSEM, * [[:Population]] (모집단) * [[:Sampling Frame]] * Probability Theory - * [[:Mean]], [[:Standard Deviation]], ([[:Variance]]) * [[:Sampling Distribution]] * [[:Standard Error]], [[..Standard error|텍스트북의 표준오차설명]] Confidence Level Confidence Interval * Simple random sampling (단순무작위) * systematic (체계적표집) * Stratified (층화) * Clustering (집락) Multiple clustering 다단계 ==== Activities ==== * Discussion: Library Search * Group Discussion: Building RQs and Hypotheses * [[:Research Question]] * [[:Hypothesis]] ==== Assignment ==== * 연구계획서 작성하기: 지난 주 내용에서 다룬 연구계획서에 대한 설명 (ch.5)을 토대로 자기 조의 연구계획서를 위키에 작성하시오 * 위키제목: 연구계획서 작성 (제6주차과제) - 몇조 * 내용은 지난 주의 클래스 activities항목과 교재를 참조하시오. * __문제__와 __문헌연구__는 도서관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고 이를 계획서에 반영하시오 ==== Announcement ==== Quiz: * 1st quiz: 10/13 (classroom) * RANGE: ~ Week 03, which will include * Textbook + Lecture + materials used in the classroom (Theories, Lecture Note, etc.). * In the lecture note * Science, natural science, social science, humanity part * Inquiry for researching * History of communication research *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방법론 * 이론 * 철학적인 접근에서의 이론 * 과학적 방법론 * 연역과 귀납 * 접합중심적 접근 (Conjunctive-based approach) * 특성중심적 접근 (Attributes-based approach) * 상황중심적 접근 (Situation-based approach) * 이론과 방법론 * 연구문제의 제기와 가설 부분까지 * Schedule 페이지 중의 외부문서 링크(위키피디아 등)의 내용은 일일이 숙지할 필요는 없으나 무엇과 관련된 것인지는 알아야 하며, 이와 관련된 강의내용은 숙지해야 합니다. * TEXTBOOK * Ch. 1 과학과 사회조사 * Ch. 2 윤리와 정치 * 2.1 - 2.3 절까지 * Ch. 3 탐구, 이론, 패러다임 * 2nd quiz: * During the mid-term exam period * RANGE: 1st quiz + Week 07, which will includes * Textbook + Lecture + materials used in the classroom. * In the lecture note: *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방법론 * 이론 * 철학적인 접근에서의 이론 * 과학적 방법론 * 연역과 귀납 * 접합중심적 접근 (Conjunctive-based approach) * 특성중심적 접근 (Attributes-based approach) * 상황중심적 접근 (Situation-based approach) * 이론과 방법론 * 연구문제의 제기와 가설 부분까지 * TEXTBOOK * 첫 퀴즈 범위 Ch. 1, 2, 3 * Ch. 4 * Ch. 5 * Ch. 6 강의하는데 까지 ===== Week 7 (April 27, 29) ===== ==== Concepts and Ideas ==== Hypothesis testing page 중에서 [[:Hypothesis Testing#가설검증|가설검증]] * Sampling distribution * Standard error * CLT에 대해서 이해해 둘 것 [[:Types of Error]] type I and type II error * alpha, p-value, confidence level * beta, beta 에러를 줄이는 법 [[:Measurement]] * [[:Indices|인덱스]] * [[:Scales|척도]] * [[:Typology|유형]] * [[:Reliability|신뢰도]] * [[:Validity|타당도]] [[:Level of Measurement]] ---- * conception - conceptualization - concept * 구상개념 - 개념화 - 개념 * 사회조사에서 어떤 용어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동의해가는 과정을 개념화([[:conceptualization]])이라고 . . . * 지표와 차원 * "동정심"이라는 개념을 나타내는 (indicating) 것: * 크리스마스에 아동병원을 방문 * 떨어진 새를 둥지에 다시 넣어주는 것 * . . . . * 총 10개의 지표 (indicators) * 김무송: 7개 | 이하니: 9개 | 최무식: 2개 | 전천후: 5개 * 동정심의 차원 (dimmension) * 새에 대한 동정심 * 인간에 대한 동정심 * 종교적인 동정심 (one hand on the bible, one hand on the gun . . . [[https://www.youtube.com/watch?v=6FPlHot8QQk|Which way are you going?]]) * 혹은 감정적인 vs. 행동적인 동정심 * NOIR * Ratio: absolute zero (nothingness) * [[:Reliability]] * [[:Validity]] ==== Assignment ==== ===== Week 8: Midterm Period (May 4, 6) ===== ==== Concepts and Ideas ==== ==== Assignment ==== ===== Week 9: (May 11, 13) ===== ==== Concepts and Ideas ==== * Levevl of Measurement * [[:Level of Measurement:#Nominal]] * 상호배타적 (mutually exclusive) * 망라적 (exhaustiveness) * [[:Level of Measurement:#Ordinal]] * [[:Level of Measurement:#Interval]] * [[:Level of Measurement:#Ratio]] * [[:scales#리커트_척도_lickert_scale]] * [[:level_of_measurement#semantic_differential|Semantic Differential]] * [[:Level of Measurement:#쌍대비교 척도]] * Bielby, W., & Bielby, D. (1999). Organizational Mediation of Project-Based Labor Markets: Talent Agencies and the Careers of Screenwriter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4(1), 64-85. Retrieved from http://www.jstor.org/stable/2657278 {{:Organizational Mediation of Project-Based Labor Markets.pdf|PDF}} * 측정: 대학에서의 학업성취 ==== Assignment ==== ===== Week 10: (May 18, 20) ===== ==== Concepts and Ideas ==== 양적관찰 vs 질적관찰 * [[:Survey]] * [[:Experimental Design]] [[http://wiki.commres.org/wiki.php/Experiment|Experiment]] * [[:Unobtrusive Research]] 비개입적 연구 * Qualitative ==== Assignment ==== ===== Week 11: (May 25, 27) ===== ==== Concepts and Ideas ==== 양적관찰 vs 질적관찰 * [[:Survey]] * [[:Experimental Design]] [[http://wiki.commres.org/wiki.php/Experiment|Experiment]] * [[:Unobtrusive Research]] 비개입적 연구 ---- 아래는 다루지 않습니다. * [[:Qualitative]] 질적현장연구 * [[:Naturalism]] * [[:Ethnomethodology]] * [[:Grounded Theory]] * Case Study * Institutional Ethnomethodology * Participatory Action Theory ==== Assignment ==== Group Assignment (group assignment): **자기 조의 관심사를 통일하고, 이와 관련된 이론을 기반으로 우리가 배운 세가지 주된 방법의 연구를 디자인하시오.** 이를 위해서 여러분은 * 그룹 토론을 통해서 관심사를 정리 통일하고 * 이와 관련된 이론이나 아이디어가 포함된 연구논문을 찾아서 * 요약정리하면서 자기 조의 연구문제들 혹은 가설들을 세워야 합니다. * 위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으로 * 각각 서베이, 실험, 그리고 비개입적 방법 중 두가지를 택해서 연구디자인을 수행합니다. * 서베이의 경우에는 설문지 작성이 포함되어야 하고 * 실험의 경우에는 실험방법 디자인을 (예를 들면 pre-test 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고안 작성이 필요하며 * 비개입적 연구에는 어떻게 데이터를 수집할 것인지 그리고 어디까지 진행되었는지를 상세하게 기술하여야 합니다. * 어떤 방법을 택하던지 각 가설에 해당하는 변인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고, 측정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논해야 합니다. * 우리가 살펴보았던 [[:제3자_효과이론과_침묵의_나선이론_연계성|침묵의 나선이론과 제3자효과 이론의 연계성 논문]]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위에서 활동한 내용은 아래와 같이 요약되어 보고서로 제출되어야 합니다. ---- * 제목, 조이름, 구성원 * 소개(글) * 선행연구 조사정리 (관련이론에 대한 설명) * 선행연구에 기반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관련이론을 이용하여, 자기조만의) 연구문제를 세우고 * 필요하다면 이와 관련된 가설을 만들고, (가설에 대한 설명 포함) * 변인에 대한 파악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등) * 데이터 수집과 관련된 작업을 통해서 각 변인이 * 서베이 문항작성 혹은 * 실험 디자인 및 문항작성 (실험에서도 설문이 이용됩니다) 혹은 * 자료 추출에 대한 디자인이 포함이 되어야 합니다. * 마지막으로 기대되는 결과를 정리하고, 결과가 의미하는 바를 논의합니다. * APA 스타일 사용 참고: * https://www.comm.or.kr/AcademicActivity/Journal/Home/1/3 다운로드해서 사용할 것 ---- 과제내용 수정 및 보완 * [[:APA style]] 내용 중의 https://www.comm.or.kr/Content/ksjcs_writing_rules.pdf 다운로드 하여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가설검증을 위한 데이터의 수집, 데이터 분석, 결과논의 등은 이 수업에서 하지 않습니다. * 가설의 숫자는 5개 이상으로 하지만, 가설의 숫자보다 가설의 질을 평가에 참조합니다. * **가설의 질이란, 얼마나 깊고 넓게 관심사안과 관련된 이론과 여타의 연구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독창적인 가설을 도출해 내었는가를 보는 것을 말합니다.** * 서베이방법 + 실험방법을 과제로 택했을 때 동일한 주제를 가지고 하는 것입니다. 단, 연구목적이나 내용에 따라 서베이가 적합한 반면 실험이 부적합할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서베이방법 + 비개입적 연구를 택할 수 있습니다. 어떤 두 가지 방법을 택하든, 각각 새로운 연구문제나 내용을 만드는 것이 아닙니다. ===== Week 12: (June 1, 3) ===== ==== Concepts and Ideas ==== ==== Assignment ==== ===== Week 13: Some Others (Clustering, Social Network Analysis…) (June 8, 9) ===== ==== Concepts and Ideas ==== * [[:Social Network Analysis]] * [[:Johnson's Hierarchical Clustering]] * [[:Text Mining the Complete Works of William Shakespeare]] * [[:Text Mining example with Korean Songs]] * [[:Factor Analysis]] ==== Assignment ==== ===== Week 14: Some Others (Clustering, Social Network Analysis…) (June 15, 17) ===== ==== Concepts and Ideas ==== ==== Assignment ==== Quiz 03: 강의 내용 * from Week 06 * Sampling . . . * Research Question * Hypothesis * Conceptualization * 지표, 차원 * Level of measurement: * NOIR * Lickert * Semantic Differential * 쌍대비교척도 * Reliability * Validity * Research Design * Survey * Experiment * Unobtrusive Research * Qualitative * Naturalism -- [[:theories]] part * Ethnomethodology * Grounded Theory 텍스트북 * 5장 * 약사 * non-probability * probability * poputation and sample frame * sampling * CLT + sampling distribution + sampling error * 6장 * 2. 존재하는 것의 측정 * 3. 개념화 * 6. 측정의 질 * 7장 * 2. 지수 대 척도 * 3. 지수의 구성 * 4. 척도의 구성 * 8장 * 2. 적합한 주제 * 3. 질문작성 * 4. 설문지 구성 * 5. 자기기입식: 응답률 부분만 (p.370) * 8. 온라인서베이 * 9. 서베이방법들 간의 비교 * 10. 장단점 * 11. 이차분석 * 9장 * 2. 적절한 주제 * 3. 고전적 실험 * 4. 피험자 선정 * 5. 다양한 실험설계 * 7. 대안적 심험상황 * 8. 장점과 단점 * 10장 * 내용분석 * 비교역사분석 * 11장 * 2. 적절한 주제 * 3. 고려사항 * 4. 파라다임들 * 5. 실행 * 6. 장점과 단점 ===== Week 15: Project Presentation ===== ===== Week 16: Final Period ===== 퀴즈 * July 02. 목요일 Quiz 봅니다. * 퀴즈 시간은 12:00 - 5:00 입니다. 퀴즈 시간은 한정되어 있습니다. 연장이나 늦게 제출되지 않도록 할 예정입니다. 60분이 제한시간이면 이 시간이 지나면 자동제출됩니다. *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Week 06 * Week 07 * Week 09 * Week 10 * Week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