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케이블 TV 방송 ====== CATV = Community Antenna Television \\ 업계의 분할: NO: Network Operator (네트워크설치자): 케이블 망 설치자 * 한국통신 * 한국전력공사 PP: [[:Program Provider|Program Provider (프로그램 공급자)]] * CJ(25) * t-broad(12) * SBS media holdings(11) * 문화방송(6) * 한국방송공사(5) * KT skylife(9) * 현대홈쇼핑 * CNM(4) SO: [[:System Operator|System Operator (지역종합유선방송국)]] * 지역유선방송국: 수원 TV * t-broad(22), CJ Hello Vision(19), C&M(18), 현대 HCN(8), CMB (9), . . . . * CJ Hello --> LG Hello 광고주 가입자 1999년: 유선방송법 개정 2000년: 통합방송법 제정 2001년: SO > 중계유선을 통한 NO 역할 포함 -> 자체망을 가진 SO 증가 MSO, MPP 등이 등장하게 됨 ===== 케이블 TV 의 특성 ===== 다채널 -> 채널의 전문화 -> Narrow-casting in comparison with Broad-casting PP --> (NO) --> SO --> (NO) --> 가정 ==== 광역성과 전문성 ==== 망과 수신기를 통한 TV 신호의 전달 vs. 주파수 대역의 한계를 극복 -> 광역성, 전문성 확보 ==== 선명한 화질 ==== 동축선 대. 전파 유선방송의 시도는 사실 난시청 지역에 대한 서비스에서 출발, 발전하였음. 지상파방송 컨텐츠의 재송신 ==== 다양한 부가서비스 ==== 인터넷서비스제공 쌍방향성 전화서비스 ===== 국내 케이블 TV 방송사현황 ===== ==== 채널을 소유한 프로그램 공급업자(PP) ==== ==== 종합유선방송국(SO) ==== 흔히 알고 있는 유선방송회사 수신료 + 알파 ==== 전송망사업자(NO) ==== ===== 케이블 TV 방송사의 제작 ===== ====== 이슈와 문제점들 ====== * 케이블방송은 초기 정착시에 "독점"에 유의한 정책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측면이 많음. * 이에 따라서, 케이블 방송사의 규모 확장이 어려워지고, 이는 콘텐츠 부족이나 그 외의 현실적인 부작용을 낳음. * 정부의 정책이 MSO, MPP를 허가하는 쪽으로 개편되고, * 이에 따라서, 현재의 MSO 들이 등장하게 됨. 점차 자리가 잡혀 가고 있다고 생각이 될 즈음에 * 위성방송의 등장\\ * IPTV의 등장 으로 산업체들은 위기감이 조성되었다고 믿고, 이에 수동적인 대응을 하게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