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이 0, 표준편차가 1인 정상분포에서의 개인점수를 말한다. \begin{equation*} \text{z} = \frac {X - \mu} {\sigma} \end{equation*} {{youtube>NY2zWGBXBhU}} in R, pnorm(zscore) or pnorm(sd) for z-score (표준점수) 1, 2, 3에 대한 proportion (percentage) 값은 r에서 아래와 같이 알아본다. sd.1 <- pnorm(1) - pnorm(-1) sd.2 <- pnorm(2) - pnorm(-2) sd.3 <- pnorm(3) - pnorm(-3) sd.1 sd.2 sd.3 [{{:pasted:20200423-082455.png?500 |pnorm(1)}}] [{{:pasted:20200423-082546.png?500 |pnorm(-1)}}] [{{:pasted:20200423-082807.png?500 |pnorm(1)-pnorm(-1) = 0.6826895}}] > sd.1 <- pnorm(1) - pnorm(-1) > sd.2 <- pnorm(2) - pnorm(-2) > sd.3 <- pnorm(3) - pnorm(-3) > sd.1 [1] 0.6826895 > sd.2 [1] 0.9544997 > sd.3 [1] 0.9973002 > 이전에 소개한 표준점수 1, 2, 3에 해당하는 면적이 68, 95, 99%라고 소개했지만, 정확한 면적은 각각 0.6826895, 0.9544997, 0.9973002 임을 알수 있다. 그렇다면 68, 95, 99%에 해당하는 정확한 zscore는 (표준점수는) 무엇일까? 이는 R에서 qnorm을 써서 알 수 있다. in R, qnorm(percentage)는 zscore를 (표준점수를) 출력한다. qnorm(.025) qnorm(.975) # 68%에 해당하는 점수 qnorm(0.68+(0.32/2)) qnorm(0.32/2) # 95%에 해당하는 점수 qnorm(0.95+(0.05/2)) qnorm(0.05/2) # 99%에 해당하는 점수 qnorm(0.99+(0.01/2)) qnorm(0.01/2) 아래의 아웃풋으로 우리는 평균을 중심으로 * 64%에 해당하는 점수는 +-0.9944579 (1이라고 소개했지만) * 95%에 해당하는 점수는 +-1.959964 (2라고 소개했지만) * 99%에 해당하는 점수는 +-2.326348 (3이라고 소개했지만) > # 64%에 해당하는 점수 > qnorm(0.84) [1] 0.9944579 > qnorm(0.16) [1] -0.9944579 > > # 95%에 해당하는 점수 > qnorm(0.025) [1] -1.959964 > qnorm(0.975) [1] 1.959964 > > # 99%에 해당하는 점수 > qnorm(0.01) [1] -2.326348 > qnorm(0.99) [1] 2.326348 > > qnorm(0.001) [1] -3.090232 > qnorm(0.999) [1] 3.090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