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Tools

Site Tools


c:ma:2025:schedule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c:ma:2025:schedule [2025/09/01 08:29] – [Week04] hkimscilc:ma:2025:schedule [2025/10/13 10:40] (current) – [Week07] hkimscil
Line 1: Line 1:
 +====== 미디어 애널리틱스 수업 ======
 +
 [[./|Class page]] [[./|Class page]]
 Mon Thur 10:30  Mon Thur 10:30 
Line 45: Line 47:
 ====== Week02  ====== ====== Week02  ======
 <WRAP half column> <WRAP half column>
 +[[:Note.w02]]
 +[[:t-test summing up]]
  
 ===== Concepts and ideas ===== ===== Concepts and ideas =====
Line 60: Line 64:
   * [[:Standard Error]]   * [[:Standard Error]]
   * [[:Hypothesis testing]]   * [[:Hypothesis testing]]
 +
  
 ---- ----
Line 156: Line 161:
 </WRAP> </WRAP>
 ====== Week04  ====== ====== Week04  ======
 +[[:anova note]]
 <WRAP half column> <WRAP half column>
  
Line 197: Line 203:
       * 위의 생각에 기반한 가설은 어떻게 세울 수 있을까?       * 위의 생각에 기반한 가설은 어떻게 세울 수 있을까?
     * [[:cognitive dissonance]]       * [[:cognitive dissonance]]  
-  * Read [[:hypothesis]]+  * Read [[:hypothesis]] see 양승찬 논문 가설
     * [[http://behavioralsciencewriting.blogspot.kr/2011/09/how-to-write-hypothesis.html|how to write hypothesis]] at behavioral science writing.      * [[http://behavioralsciencewriting.blogspot.kr/2011/09/how-to-write-hypothesis.html|how to write hypothesis]] at behavioral science writing. 
     * One sample hypothesis [[http://www.socialresearchmethods.net/kb/hypothes.php|Hypothesis]] at www.socialresearchmethods.net     * One sample hypothesis [[http://www.socialresearchmethods.net/kb/hypothes.php|Hypothesis]] at www.socialresearchmethods.net
Line 229: Line 235:
 <WRAP half column> <WRAP half column>
 ===== Assignment ===== ===== Assignment =====
-Assignment for all groups  
-  * Read [[:research_methods_lecture_note#커뮤니케이션_연구문제_제기와_가설]] 
-  * Read [[:research question]] 
-  * Read [[:hypothesis]] 
- 
-Group assignment 1  
-  * 관심사와 관련된 연구보고서를 찾아서 가설을 찾아 아래처럼 정리하시오.  
-    * 연구보고서는 자기 조의 주제를 이용하여 도서관이라 구글등을 이용해서 찾아야 합니다.  
-    * 양적인 연구보고서야 합니다. 흔히 이런 논문들은 양승찬의 논문과 같은 소주제를 포함합니다. 
-    * 가설이 포함되어 있어야 (3개 이상) 하고, 이를 이용하여 아래를 정리해야 합니다. 
-      * 각 가설의 변인의 종류 설명: IV, DV 등 나열 
-      * 각 가설에 사용된 변인들의 측정수준 설명  
-      * 가설의 종류에 대해서 설명 (차이, 연관의 가설) 
-      * 가설검증 방법을 찾아서 설명 (Result, 결과 등의 섹션) 
-      * 검증결과를 찾아서 설명 
-  * 위에서 찾은 연구보고서와 그 가설들을 바탕으로 자기 조만의 가설 만들어 보기 (차이의 가설만 해당, 조원 숫자 이상) 
-    * 가설에서 사용된 변인의 종류 설명 
-    * 측정수준 설명  
-    * 검증방법 설명 
- 
 </WRAP> </WRAP>
  
 ====== Week05 ====== ====== Week05 ======
 <WRAP half column> <WRAP half column>
-[[:c:ma:exercise.01|퀴즈 01 연습문제]] 
  
 ===== ideas and concepts  ===== ===== ideas and concepts  =====
Line 284: Line 269:
 <WRAP half column> <WRAP half column>
 ===== Assignment ===== ===== Assignment =====
-개인과제+Assignment for all groups  
 +  * Read [[:research_methods_lecture_note#커뮤니케이션_연구문제_제기와_가설]] 
 +  * Read [[:research question]] 
 +  * Read [[:hypothesis]] 
 + 
 +==== Group assignment ==== 
 + 
 +  * 관심사와 관련된 연구보고서를 찾아서 가설을 찾아 아래처럼 정리하시오.  
 +    * 연구보고서는 자기 조의 주제를 이용하여 도서관이라 구글등을 이용해서 찾아야 합니다.  
 +    * 양적인 연구보고서야 합니다. 흔히 이런 논문들은 양승찬의 논문과 같은 소주제를 포함합니다. 
 +    * 가설이 포함되어 있어야 (3개 이상) 하고, 이를 이용하여 아래를 정리해야 합니다. 
 +      * 각 가설의 변인의 종류 설명: IV, DV 등 나열 
 +      * 각 가설에 사용된 변인들의 측정수준 설명  
 +      * 가설의 종류에 대해서 설명 (차이, 연관의 가설) 
 +      * 가설검증 방법을 찾아서 설명 (Result, 결과 등의 섹션) 
 +      * 검증결과를 찾아서 설명 
 +  * 위에서 찾은 연구보고서와 그 가설들을 바탕으로 자기 조만의 가설 만들어 보기 (차이의 가설만 해당, 조원 숫자 이상) 
 +    * 가설에서 사용된 변인의 종류 설명 
 +    * 측정수준 설명  
 +    * 검증방법 설명 
 + 
 +==== 개인과제 ==== 
 [[:regression#eg_simple_regression|simple regression example]] 의 데이터를 R에 불러와서 다음을 손으로 계산하시오. [[:regression#eg_simple_regression|simple regression example]] 의 데이터를 R에 불러와서 다음을 손으로 계산하시오.
 <code> <code>
Line 332: Line 339:
 <WRAP half column> <WRAP half column>
 ===== Assignment ===== ===== Assignment =====
-  - Public opinion in online environments ((refer to {{:public.opinion.theories.introduction.pdf}} )) 
-    * [[:Spiral of Silence]] 
-    * [[:Pluralistic Ignorance]] 
-    * [[:The Third Person Effect]] 
-    * etc. 여론형성과 관련된 사회학적 혹은 사회심리학적 이론을 찾아보고 소개하기, 예로 위의 세가지. 얼마전 사회현상을 어떻게 설명하면 좋을까에 대해서 논의정리하기? 정확한 온라인 환경에서의 여론파악을 위해서 어떤 것이 필요할까? 
-    * 혹은 다른 문제에 대해서 (. . . 조에 따른 . . .) 
-  - Hypotheses 
-    * Multiple regression hypotheses.  
-    * Google Survey Questions 
-  
  
 </WRAP> </WRAP>
Line 348: Line 345:
 <WRAP half column> <WRAP half column>
  
-  * [[.schedule/note_r]]+  * [[:r:regression]] in R
   * standardized coefficient in r (beta coefficient in mr)    * standardized coefficient in r (beta coefficient in mr) 
     * lm.beta(model)     * lm.beta(model)
Line 357: Line 354:
 ===== Activity ===== ===== Activity =====
   * 데이터 불러오기   * 데이터 불러오기
-<code> dat <- read.csv("http://commres.net/wiki/_media/regression01-bankaccount.csv") </code> 
   * 살피기 ''str(dat)''   * 살피기 ''str(dat)''
-  * 가설만들기 : 독립변인으로 fammember를, 종속변인으로 account를 (통장갯수를)  +  * 가설만들기  
-    * ?+
   * 변인관련 실습   * 변인관련 실습
     * DV의 SS 값은 무엇인가?      * DV의 SS 값은 무엇인가? 
Line 378: Line 373:
  
 ===== Assignment ===== ===== Assignment =====
 +Group assignment 
 +  * Regression test  
 +  * with data publicly available 
 </WRAP> </WRAP>
  
 ====== Week08 ====== ====== Week08 ======
 <WRAP half column> <WRAP half column>
- 
-__**Mid-term period**__  
- 
-한 연구자가 Performance와 각성(arousal)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연구자는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실험을 아래와 같이 하여, 정리하였다.  
- 
-{{:c:ma:2021:pasted:20211021-091855.jpeg}} 
- 
-{{:c:ma:2021:pasted:20211021-091425.jpeg?350}} 
- 
-{{:c:ma:2021:pasted:20211021-091819.jpeg?350}} 
  
 </WRAP> </WRAP>
c/ma/2025/schedule.1756682951.txt.gz · Last modified: by hkimscil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