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Tools

Site Tools


c:mrm:2021:lecturer_note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Both sides next revision
c:mrm:2021:lecturer_note [2021/03/31 07:35] hkimscilc:mrm:2021:lecturer_note [2021/03/31 07:40] – [ga.w05 Finding res article with hypotheses] hkimscil
Line 3: Line 3:
 ====== ga.w05 Finding res article with hypotheses ====== ====== ga.w05 Finding res article with hypotheses ======
  
 +===== g 1 ===== 
 +  * 연구가설 1-1  
 +    * 소셜미디어 의존도가 높을수록 COVID-19 심각성 인식이 높아질 것이다.  
 +  * 연구가설 1-2  
 +    * 소셜미디어 의존도가 높을수록 COVID-19 취약성 인식이 높아질 것이다. 
 +  * 연구가설 2-1  
 +    * COVID-19에 대한 심각성 인식은 타자에 대한 배타성을 낮출 것이다. 즉COVID-19에 대하여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일수록 타자에 대해 포용적인 태도를 취할 것이다. 
 +  * 연구가설 2-2  
 +    * COVID-19에 대한 취약성 인식은 타자에 대한 배타성을 높일 것이다. 즉 자신이 COVID-19에 감염될 위험이 크다고 생각하는 사람일수록 타자에 대해 배타적인 태도를 취할 것이다. 
 +  * 연구가설 3-1  
 +    * 소셜미디어 의존도는 심각성 인식을 매개로 타자에 대한 배타적 태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즉 소셜미디어 의존도가 높을수록 COVID-19를 더욱 심각하게 생각하며, 상황이 사회적으로 심각하다고인식할수록 타자에게 더욱 포용적인 태도를 취할 것이다. 
 +  * 연구가설 3-2  
 +    * 소셜미디어 의존도는 취약성 인식을 매개로 타자에 대한 배타적 태도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즉 소셜미디어 의존도가 높을수록 COVID-19에 자신이 더욱 취 약하다고 인식하며, 높은 취약성 인식은 타인에 대하 배타성을 높일 것이다.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