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Tools

Site Tools


c:mrm:2022:lecturer_note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Last revisionBoth sides next revision
c:mrm:2022:lecturer_note [2022/03/30 08:11] hkimscilc:mrm:2022:lecturer_note [2022/04/27 08:58] – [9th week] hkimscil
Line 1: Line 1:
 +====== 9th week ======
 +  * Back to hypotheses
 +    * Identifying variables (IV, DV, etc)
 +    * Exploring measurement -->
 +      * designing analysis method 
 +        * survey
 +        * experiment
 +        * observation
 +        * records (artifacts) 
 +
 +  * 최은혜. one-way ANOVA vs two-way ANOVA (Factorial ANOVA)
 +  * 이윤정. 플로우이론과 가설의 관계
 +  * 정인영. 자체에 대한 테스트  
 +    * 계획된 행동이론(TPB)
 +    * [[https://link.springer.com/chapter/10.1007/978-3-642-69746-3_2]]
 +      * 행동에 대한 태도 (attitudes toward behavior)
 +      * 주관적 규범 (subjective norm)
 +      * 지각된 행동<del>통제</del>제약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      * 의도 (intention) 
 +      * 행동 (behavior)
 +    * {{https://sphweb.bumc.bu.edu/otlt/mph-modules/sb/behavioralchangetheories/Theory%20of%20Planned%20Behavior.png?600}}
 +    * measuring PBC
 +      * see https://www.med.upenn.edu/hbhe4/part2-ch4-measuring-constructs-perceived-behav-control.shtml
 +  * 송하연. Affordance theory
 +    * An “affordance” refers to the possibility of an action on an object; for instance, we say that an elevator button affords being pressed, and a chair affords being sat on. . . . [[https://www.interaction-design.org/literature/topics/affordances]]
 +    * relationship between AT (affordance) and FT (flow)?
 +    * + VR (virtual world) design
 +    * 좋은 affordance 가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해하고 유용한 UI와 연관이 있다고 한다면 그렇다면 affordance란 어떻게 측정하는가? 
 +      * --> affordance 
 +      * [[https://montrealethics.ai/how-artifacts-afford-the-power-and-politics-of-everyday-things/|3 components of affordance]]?
 +      * 
 +
 ====== 5th week ====== ====== 5th week ======
   * 김도휘   * 김도휘
Line 8: Line 40:
     * 체화된 인지이론     * 체화된 인지이론
     * 체화된 인지 이론은 마르틴 하이데거의 "존재론"과 모리스 메를로퐁티의 "체화-주체론"에서 비롯되었으며, 체화된 인지의 핵심적인 의미는 인류의 체험, 감각, 지각, 주의, 기억, 정서 등이 모두 신체를 통해 실현된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체화된 인지 이론에 따르면 수용자는 VR 의 신체 체험을 물리적 세계에 근접하거나 동등한 "진실"의 경험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감각, 지각, 정서, 기억, 자아 인지 등 심리적 측면의 의미를 구축할 수 있다.      * 체화된 인지 이론은 마르틴 하이데거의 "존재론"과 모리스 메를로퐁티의 "체화-주체론"에서 비롯되었으며, 체화된 인지의 핵심적인 의미는 인류의 체험, 감각, 지각, 주의, 기억, 정서 등이 모두 신체를 통해 실현된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체화된 인지 이론에 따르면 수용자는 VR 의 신체 체험을 물리적 세계에 근접하거나 동등한 "진실"의 경험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감각, 지각, 정서, 기억, 자아 인지 등 심리적 측면의 의미를 구축할 수 있다. 
 +  * 황지환 
 +    * 어포던스(Affordance) 이론 
 +    * 심리학자 깁슨이 처음 제시한 어포던스라는 개념은 영어 동사 afford(~할 만하다)에 접미사 -ance를 붙인 용어로, 정보에 따라 인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의미한다.  
 +    * 이에 어포던스 이론은 기존에 알고 있던 방식대로 행동할 때 인간은 심리적·신체적으로 편안하게 정보를 받아들인다는 이론이다. 예로 특정 인물이 ‘왼발잡이니까 왼발만 사용해야지라고 생각할 때 오른발을 사용하기 어렵다는 생각에 이미 익숙하기 때문에 실제로도 왼발을 더욱 사용하게 되는 상황에서 어포던스 이론을 살펴볼 수 있다. 
 +  * 최민수 
 +    * 디지털사회이론 
 +    * -- 
 +  * 유경진 
 +    * 사회정서선택이론
  
 ====== 3rd week ====== ====== 3rd week ======
c/mrm/2022/lecturer_note.txt · Last modified: 2022/05/09 08:34 by hkimscil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