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Tools

Site Tools


collective_action_theory

This is an old revision of the document!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Public goods and the theory of groups by Mancur Olson

조직, 그룹, 사회, 국가의 이익 vs. 자기 개인의 이익

개인은 집단에게서 무엇인가를 얻고자(얻을 수 있으므로) 자진하여 소속됨

개인은 공공이익(선)을 위해서 비용을 지불하고 공공이익이 분사하는 개인이익을 누리려고 함

집단이 커질 수록 집단이 주는 이익의 배분이 불분명해지고, 자신이 지불하는 비용의 사용이 불명확해 짐

창출된 공공이익이 불특정 다수에게 이익을 줄 때 (이익의 배타성이 없어질 때)

자신의 비용이 절대적 필요가 아님을 인지하고 무임승차(free riding)를 시도함

소비의 비경합성 (non-competitiveness)

소비의 비배제성 (non-exclusivity) 의 성격을 갖는 공공재의 경우

무임승차의 문제가 발생하기에 이를 해결하려는 시도가 필요하게 됨.

진정한 의미에서의 공공재의 경우 → 세금이나 공적자금을 사용하여 재원을 조달, 위의 두 문제가 큰 문제가 되지 않도록 함

사적인 재화이지만 공공재의 성격을 지닌 경우 → 관련 법안을 만들어 지키도록 강요함

  • 미디어 콘텐츠
    • 공공재와
      • 무임승차의 위험
    • 경험재 성격을 모두 가짐
      • 구매행위의 반복이 이루어 짐 (콘텐츠 구매, 소비 경험에 만족하면 반복하여 소비함)
      • 구매 생태계 조성 후 소비자를 retain 하는 것이 중요

인터넷과_집단행동_논리.pdf

collective_action_theory.1496879453.txt.gz · Last modified: 2017/06/08 08:20 by hkimscil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