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Tools

Site Tools


r:t-test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Last revisionBoth sides next revision
r:t-test [2021/04/15 09:51] – [one sample t-test] hkimscilr:t-test [2024/04/01 09:00] hkimscil
Line 30: Line 30:
 > potato_sample_large <- rnorm2(2500, 194,20) > potato_sample_large <- rnorm2(2500, 194,20)
 > mean(potato_sample_large) > mean(potato_sample_large)
-[1] 191+[1] 194
 > sqrt(var(potato_sample_large)) > sqrt(var(potato_sample_large))
 [1]   20 [1]   20
Line 85: Line 85:
  
 # or  # or 
-1-pt(t,n-1)+2*(1-pt(t,n-1))
 # n = 50 이었음 # n = 50 이었음
 # t = 계산된 값 # t = 계산된 값
 +</code>
 +
 +<code>
 +tout <- t.test(height_sample_biased, mu=pop_mean)
 +tout
 </code> </code>
 ====== One sample t-test population sigma unknown ====== ====== One sample t-test population sigma unknown ======
Line 282: Line 287:
 s.mean <- 53.5 s.mean <- 53.5
 s.sd <- 5 s.sd <- 5
-set.seed(1)+set.seed(1)
 s1 <- rnorm(s.n, s.mean, s.sd)  s1 <- rnorm(s.n, s.mean, s.sd) 
 s1 s1
Line 288: Line 293:
 </code> </code>
  
-위의 샘플은 수학 강사인 A가 특별한 방법으로 학생들을 가르친 후 얻은 평균 점수이다 (53.5점, n=36). 전국평균이 50점임을 (표준편차는 샘플과 같이 5라고 하자) 알고 있다고 할 때, 강사는 이 55점으로 자신의 학습방법이 효과가 있다는 것을 증명하려고 한다. +위의 샘플은 수학 강사인 A가 특별한 방법으로 학생들을 가르친 후 얻은 평균 점수이다 (53.5점, n=36). 전국평균이 51점임을 (표준편차는 샘플과 같이 5라고 하자) 알고 있다고 할 때, 강사는 이 55점으로 자신의 학습방법이 효과가 있다는 것을 증명하려고 한다. 
  
   * 모집단의 표준오차값은 무엇인가?   * 모집단의 표준오차값은 무엇인가?
Line 298: Line 303:
     * 확인     * 확인
 <code> <code>
-t.test(s1, mu=50)+t.test(s1, mu=51)
 </code> </code>
  
 표준편차가 샘플과 모집단이 서로 다르다고 한다면  표준편차가 샘플과 모집단이 서로 다르다고 한다면 
 <code> <code>
-t.test(s1, mu=50, var.equal=FALSE)+t.test(s1, mu=51, var.equal=FALSE
 +</code> 
 + 
 +<code> 
 +# 이것을 손으로 풀면  
 +# 가설: 강사의 학습방법이 효과가 있을 것이다 
 +# 가설: 강사의 학생들의 점수와 모집단의 평균점수가 다를 것이다.  
 + 
 +# 모집단 평균: 51 
 +s.mu <- 51 
 +# 강사집단의 평균: 53.5, sd = 5 
 + 
 +# 이 때 se 값은  
 +se <- sqrt(s.sd^2/s.n) 
 +se2 <- se * 2 
 +# 영가설 기각 범위는 아래 두 점수 사이 
 +s.mu - se2 
 +s.mu + se2 
 +# mean(s1)값이 이 점수 밖에 존재하는가? 
 +mean(s1) 
 + 
 +</code> 
 +====== Two sample test ====== 
 +[[:t-test]] 
 + 
 +게임회사의 직원인 강태원씨는 게임에 접속하는 사용자의 게임에 대한 강박성이 존재할 때, 가장 접속을 많이 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강박성이란 게임의 진행과정이 머리에 끊임없이 떠올라서 게임상황을 활성화하는 정도를 말한다. 이런 방법으로 강태원은 강박성이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 두 그룹을 구하고, 각 그룹의 게임에 쓴 비용을 구하였다. 정말 차이가 있을까? 
 + 
 +HI group  
 +평균: 6000 
 +n: 16 
 +LO group 
 +평균: 4000 
 +n: 16 
 + 
 +<code> 
 +s.n <- 16 
 +s.hi <- 6000 
 +s.sd <- 500 
 +s.lo <- 4000 
 + 
 +set.seed(101) 
 +s.hi <- round(rnorm(s.n, s.hi, s.sd)) 
 +s.lo <- round(rnorm(s.n, s.lo, s.sd)) 
 + 
 +s.hi 
 +s.lo 
 + 
 +mean(s.hi) 
 +mean(s.lo) 
 + 
 +t.test(s.hi, s.lo, var.equal=T) 
 +</code> 
 + 
 +====== Paired sample t-test ====== 
 +미디어교육을 초등학교 5학년 학생에게 하여, 이 학생들이 게임에 쓴 시간을 조절을 할 수 있게 된다고 학부모들을 설득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서 강경태 게임회사 기획자는 미디어교육 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5학년 학생 집단 10명에게 적용한 후 게임에 쓴 시간을 측정을 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  * se 값을 구해보시오 
 +  * t 값을 구해보시오 
 + 
 +<code> 
 +before <- c(392.9, 393.2, 345.1, 393, 434, 427.9, 422, 383.9, 392.3, 352.2) 
 +after <- c(200.1, 190.9, 192.7, 213, 241.4, 196.9, 172.2, 185.5, 205.2, 193.7) 
 + 
 +bminusa <- before-after 
 +mean(bminusa) 
 +sd(bminusa) 
 + 
 +se <- sqrt(sd(bminusa)^2/10) 
 +t.value <- (mean(before)-mean(after))/se 
 + 
 +t.test(before, after, paired=TRUE)
 </code> </code>
  
r/t-test.txt · Last modified: 2024/04/15 08:52 by hkimscil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