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Tools

Site Tools


research_design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research_design [2019/05/13 08:18] – [Type of Variables] hkimscilresearch_design [2019/05/13 08:42] (current) hkimscil
Line 32: Line 32:
  
 ====== Conceptualization ====== ====== Conceptualization ======
 +{{:research.design.012.png}}
 +
 +
 광범위한 연구문제를 좀더 구체화하기 위한 작업으로 conceptualization이 있다. **Concept(개념)를 만드는 과정**으로 생각할 수 있는데, 이는 곧 컴퓨터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이 무엇을 의미하는 지에 대해서 고찰하고, 이를 구체화하는 것이다. 컴퓨터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으로 이메일을 이용한 것에 한정지어 생각을 해 볼 수 있을 것이고, 특히 이매일이 부모와의 커뮤니케이션에 어떻게 사용되는 지에 대해서 궁금할 수 있을 것이다.  광범위한 연구문제를 좀더 구체화하기 위한 작업으로 conceptualization이 있다. **Concept(개념)를 만드는 과정**으로 생각할 수 있는데, 이는 곧 컴퓨터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이 무엇을 의미하는 지에 대해서 고찰하고, 이를 구체화하는 것이다. 컴퓨터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으로 이메일을 이용한 것에 한정지어 생각을 해 볼 수 있을 것이고, 특히 이매일이 부모와의 커뮤니케이션에 어떻게 사용되는 지에 대해서 궁금할 수 있을 것이다. 
  
Line 43: Line 46:
  
 ====== Operationalization ====== ====== Operationalization ======
-위에서 내린 정의는 처음의 연구문제를 구체화하기는 하지만,  **이매일을 사용하는 것**을 살펴보는 것이 어떤 observation을 뜻하는 지에 대한 정의가 없다. **이매일을 사용한다는 것**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살펴보는 것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정의를 내리는 것을 Operationalization(조작적 정의)이라고 한다. 메시지를 포워딩하는 행위를 이매일 사용에  +위에서 내린 정의는 처음의 연구문제를 구체화하기는 하지만,  **이매일을 사용하는 것**을 살펴보는 것이 어떤 observation을 뜻하는 지에 대한 정의가 없다. **이매일을 사용한다는 것**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살펴보는 것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정의를 내리는 것을 Operationalization(조작적 정의)이라고 한다. 메시지를 포워딩하는 행위를 이매일 사용에 포함하는 것인지, 메시지를 주고 받는, 한 사이클을 이매일을 사용한 행위로 할 것인지 등에 관한 정의를 내리면, 자신이 세운 문제에 대한 해답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얻을 것인지에 대한 아이디어가 서게 된다. 
-포함하는 것인지, 메시지를 주고 받는, 한 사이클을 이매일을 사용한 행위로 할 것인지 등에 관한 정의를 내리면, 자신이 세운 문제에 대한 해답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얻을 것인지에 대한 아이디어가 서게 된다. +
  
 반대로 모바일 폰의 사용도 마찬가지이다. 핸드폰을 이용한 메시지의 송신 혹은 수신만을 의미하는지, 아니면, 이 둘을 모두 포함하는지, 송신/수신을 한 짝으로 한것을 커뮤니케이션 행위의 단위로 볼 것인지, 음성통화만을 모바일 폰의 사용으로 볼 것인지, 모바일 폰을 이용한 이매일 사용은 어떤 범주에 넣을 것인지 등등에 대한 고찰을 한 후, **모바일 폰을 사용한 커뮤니케이션**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정의를 내린다.  반대로 모바일 폰의 사용도 마찬가지이다. 핸드폰을 이용한 메시지의 송신 혹은 수신만을 의미하는지, 아니면, 이 둘을 모두 포함하는지, 송신/수신을 한 짝으로 한것을 커뮤니케이션 행위의 단위로 볼 것인지, 음성통화만을 모바일 폰의 사용으로 볼 것인지, 모바일 폰을 이용한 이매일 사용은 어떤 범주에 넣을 것인지 등등에 대한 고찰을 한 후, **모바일 폰을 사용한 커뮤니케이션**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정의를 내린다. 
Line 50: Line 52:
 또한 차이점(핸드폰 대, 이매일 사용)을 포착하기 위해서 무엇을 살펴볼 것인지에 대한 고찰도 필요하다. 위의 conceptualization 단계에서는 **원할한 관계유지**의 차이점이라고 하였는데, 이 차이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지, 그리고 이것을 어떻게 얻을 것인지(obtain)에 대해서 명확히 하여야 한다. 가령, **관계의 유지**에 대해서 서베이를 하여, 당사자들이 서로가 서로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얻을 것인가? 아니면, 실지로 유통된 메시지를 직접 분석하여 커뮤니케이션 당사자간의 관계를 판단할 것인가? 등등을 명확히 하도록 한다. 또한 차이점(핸드폰 대, 이매일 사용)을 포착하기 위해서 무엇을 살펴볼 것인지에 대한 고찰도 필요하다. 위의 conceptualization 단계에서는 **원할한 관계유지**의 차이점이라고 하였는데, 이 차이점이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지, 그리고 이것을 어떻게 얻을 것인지(obtain)에 대해서 명확히 하여야 한다. 가령, **관계의 유지**에 대해서 서베이를 하여, 당사자들이 서로가 서로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얻을 것인가? 아니면, 실지로 유통된 메시지를 직접 분석하여 커뮤니케이션 당사자간의 관계를 판단할 것인가? 등등을 명확히 하도록 한다.
 ===== Variables ===== ===== Variables =====
- * [[Variables]]Read the [http://wiki.commres.org/wiki.php/ResearchMethods/Variables?action=download&value=Status_of_Frustrator.pdf article] first.+  * [[Variables]]  
 +  * Read the {{Status_of_Frustrator.pdf}} file first.
 ===== Type of Variables ===== ===== Type of Variables =====
   * [[:Level of Measurement]]   * [[:Level of Measurement]]
 +
 ===== Unit of analysis ===== ===== Unit of analysis =====
-[[Unit of Analysis]] 참조+  * [[:Unit of Analysis]] 참조 
 +  * [[:ecological fallacy]] 
 +  * [[:exception fallacy]] 
 +  * 
 ===== Validity and Reliability ===== ===== Validity and Reliability =====
-[[Validity]] +  * [[Validity]] 
-[[Reliability]]+  [[Reliability]] 
 ====== Reviewing previous studies ====== ====== Reviewing previous studies ======
 위의 두 과정 (C, O)을 연구자 혼자 고찰하고 생각해 냄으로써 가능할 수도 있지만, 이것은 효과적인 방법이 아니다. 우선, 자신이 구체화하고 있는 연구문제가 기존의 연구에 포함이 되어 있는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한다. 우선 이매일을 이용한 부모/자식간의 대화에 대한 기존의 연구가 있었는지에 대해서 살펴 볼 수 있다. 만약에 그런 연구가 있었다면, 그 연구에서는 이매일사용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conceptualization)되었는지, 그리고 이 정의된 개념을 관찰(observation)하기 위해서 무엇을 살펴보았는지(operationalization)에 대해서 참고할 수 있다. 이렇게 기존연구와 동일한 개념(concepts)과 조작(operation)을 사용한다면, 기존연구와 자신의 연구의 결과를 비교 검토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므로 자신의 연구의 가치를 높이는 결과를 갖는다. 위의 두 과정 (C, O)을 연구자 혼자 고찰하고 생각해 냄으로써 가능할 수도 있지만, 이것은 효과적인 방법이 아니다. 우선, 자신이 구체화하고 있는 연구문제가 기존의 연구에 포함이 되어 있는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한다. 우선 이매일을 이용한 부모/자식간의 대화에 대한 기존의 연구가 있었는지에 대해서 살펴 볼 수 있다. 만약에 그런 연구가 있었다면, 그 연구에서는 이매일사용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conceptualization)되었는지, 그리고 이 정의된 개념을 관찰(observation)하기 위해서 무엇을 살펴보았는지(operationalization)에 대해서 참고할 수 있다. 이렇게 기존연구와 동일한 개념(concepts)과 조작(operation)을 사용한다면, 기존연구와 자신의 연구의 결과를 비교 검토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므로 자신의 연구의 가치를 높이는 결과를 갖는다.
Line 141: Line 149:
  1. Longitudinal  1. Longitudinal
  1. Cross-sectional  1. Cross-sectional
-  * [[../ResearchDesign#s-1.2 Time 섹션 참조]] 
 == Types of Data == == Types of Data ==
-{{| + see [[:Level of measurement]]   
- * [Level of variables]  Level of variable Eng +
- * [Level of variables Kr] Level of Variables Kor +
-|}}+
 ====== Analyzing data ====== ====== Analyzing data ======
 서베이, content analysis, experiment, quasi-experiment 등을 통해서 얻은 데이터를 이용해서 연구자는 분석을 하게 된다. 분석은 가설들(hypotheses)을 테스트 함으로써, 자신이 예측한 변수간의 관계가 맞았음을 입증하는 것이고, 이를 통해서 연구자는 자신의 이론적인 기반이 맞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다. 서베이, content analysis, experiment, quasi-experiment 등을 통해서 얻은 데이터를 이용해서 연구자는 분석을 하게 된다. 분석은 가설들(hypotheses)을 테스트 함으로써, 자신이 예측한 변수간의 관계가 맞았음을 입증하는 것이고, 이를 통해서 연구자는 자신의 이론적인 기반이 맞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다.
research_design.1557703126.txt.gz · Last modified: 2019/05/13 08:18 by hkimscil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