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_methods_lecture_note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Next revision | Previous revision | ||
research_methods_lecture_note [2021/04/10 17:34] – [제한적인 효과에 대한 발견] hkimscil | research_methods_lecture_note [2024/09/05 09:00] (current) – [연관가설] hkimscil | ||
---|---|---|---|
Line 456: | Line 456: | ||
가설은 반드시 **두 가지 이상의 [[: | 가설은 반드시 **두 가지 이상의 [[: | ||
- | 가설은 선언문의 형식을 가져야 한다. 연구문제와 같이 의문문의 형식을 가질 수는 없다. 또한 가설은 두개 이상의 변인 (variables)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이어야 한다. 두 개 이상의 변인 간의 관계에서 말에서 관계는 보통 “차이 (difference), | + | 가설은 선언문의 형식을 가져야 한다. 연구문제와 같이 의문문의 형식을 가질 수는 없다. 또한 가설은 두개 이상의 변인 (variables)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이어야 한다. 두 개 이상의 변인 간의 관계에서 말에서 관계는 보통 “<fc #ff0000>차이 (difference), |
> 가설1] 여성과 남성 간의 이타심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 가설1] 여성과 남성 간의 이타심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
Line 467: | Line 467: | ||
===== 가설작성 ===== | ===== 가설작성 ===== | ||
- | 가설 예1 | + | ==== 차이 |
+ | |||
+ | 예1 | ||
* < | * < | ||
* 을 많이 <혹은 적게> 가진, 에 노출 <혹은 비노출> | * 을 많이 <혹은 적게> 가진, 에 노출 <혹은 비노출> | ||
Line 491: | Line 493: | ||
위의 가설은 우선, 두 가지의 변인을 사용하며 이 변인들이 서로 어떤 관계에 있는가를 선언한다: | 위의 가설은 우선, 두 가지의 변인을 사용하며 이 변인들이 서로 어떤 관계에 있는가를 선언한다: | ||
+ | ==== 연관가설 ==== | ||
+ | 예, | ||
+ | * 통학거리와 학생의 학문적성취는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 ||
+ | * 두 변인 | ||
+ | * 변인의 측정 | ||
+ | * 관계 | ||
====== 연구의 설계 ====== | ====== 연구의 설계 ====== |
research_methods_lecture_note.1618043663.txt.gz · Last modified: 2021/04/10 17:34 by hkimsc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