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Tools

Site Tools


threats_to_internal_validity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threats_to_internal_validity [2024/04/29 11:33] – [반응성 (reactivity)] hkimscilthreats_to_internal_validity [2024/05/02 21:28] (current) – [반응성 (reactivity)] hkimscil
Line 10: Line 10:
 ===== Mortality ===== ===== Mortality =====
 실험, 서베이 참가자를 잃는 것을 의미한다. 사망이 아니라, 서베이 혹은 실험 경과 중 참가자가 포기하거나, 그만 두는 경우 등을 말한다.  실험, 서베이 참가자를 잃는 것을 의미한다. 사망이 아니라, 서베이 혹은 실험 경과 중 참가자가 포기하거나, 그만 두는 경우 등을 말한다. 
-===== Diffusion of treatment or Testing ===== +===== Diffusion of treatment ===== 
-실험에 참가하여 테스트나 트리트먼트를 받은 것 자체가 실험이나 서베이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이다 ([[:Hawthorne studies|Hawthorne studies 의 경우]]) +실험에 참가한 treatment group과 control group 간에 treatment에 대한 정보가 공유되는 경우이다. treatment group에는 treatment를 투여하고, control group은 투여하지 않은 채로 두 그룹을 비교함으로써 독립변인의 영향을 보려고 하는데treatment group 의 구성원이 treatment를 공유하는 경우이다. 가령 암기를 잘하는 방법으로 이미지연상법을 가르친 후에 암기력 테스트를 하는데, 이미지연상법을 배운 treatment group이 control group의 구성원게 새로운 방법을 배웠다고 소개하는 경우다. 
-===== 반응성 (reactivity) ===== +
-실험참가자가 프리테스트를 은 것에 영향을 아, 그 영향력이 테스트 결과에 반영되는 것을 말한다. 프리테스트 외에도 실험자체에 참가하는 에 고무되는 경우도 포함된다 ([[:Hawthorne studies|Hawthorne studies 의 경우]])+
  
 +
 +
 +===== 반응성 (reactivity) 혹은 테스트 =====
 +실험참가자가 프리테스트를 받은 것에 영향을 받아, 그 영향력이 테스트 결과에 반영되는 것을 말한다. IQ 테스트를 한 후에 (pre-test) 머리가 좋아지는 프로그램을 받고 (treatment) 다시 IQ 테스트를 (post test) 할 수 있는데, treatment의 효과보다는 IQ test를 두 번 받기에 두번 째 점수가 더 좋아지는 경우이다. 
 +
 +프리테스트 외에도 실험자체에 참가하는 것에 고무되는 경우도 포함된다. 즉 treatment 혹은 test 자체가 영향을 미치는 경우이다. [[:Hawthorne studies|Hawthorne studies 의 경우]] 실험에 참가하여 관찰을 받는 것 자체에 고무되어 열심히 일을 하게 되는 실험참가자를 말한다.  
  
 {{tag>"research methods" validity "internal validity"}} {{tag>"research methods" validity "internal validity"}}
threats_to_internal_validity.txt · Last modified: 2024/05/02 21:28 by hkimscil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