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s:2025:w07.2_factorial_anova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Next revision | Previous revision | ||
| c:ms:2025:w07.2_factorial_anova [2025/04/20 23:49] – [Output, two-way ANOVA] hkimscil | c:ms:2025:w07.2_factorial_anova [2025/05/06 22:25] (current) – hkimscil | ||
|---|---|---|---|
| Line 2: | Line 2: | ||
| Factorial ANOVA | Factorial ANOVA | ||
| < | < | ||
| + | rm(list=ls(all=TRUE)) | ||
| + | |||
| ################################################# | ################################################# | ||
| # two-way anova | # two-way anova | ||
| Line 7: | Line 9: | ||
| ################################################# | ################################################# | ||
| - | n.a.group <- 3 # a treatment 숫자 | + | n.a.group <- 3 # a treatment 숫자 |
| - | n.b.group <- 2 # b 그룹 숫자 | + | n.b.group <- 2 # b 그룹 숫자 |
| n.sub <- 30 # 총 샘플 숫자 | n.sub <- 30 # 총 샘플 숫자 | ||
| n.sub/ | n.sub/ | ||
| Line 14: | Line 16: | ||
| # 데이터 생성 | # 데이터 생성 | ||
| set.seed(9) | set.seed(9) | ||
| - | a <- gl(3, n.sub/ | + | a <- gl(n.a.group, |
| - | b <- gl(2, (n.sub/ | + | |
| + | | ||
| + | | ||
| + | b <- gl(n.b.group, | ||
| + | | ||
| + | | ||
| + | | ||
| a | a | ||
| b | b | ||
| y <- rnorm(30, mean=10) + | y <- rnorm(30, mean=10) + | ||
| - | 3.14 * (a=='a1' & b=='b2') + | + | 3.14 * (a=='drg1' & b=='exerc') + |
| - | 1.43 * (a=='a3' & b=='b2' | + | 1.43 * (a=='drg3' & b=='exerc' |
| y | y | ||
| Line 182: | Line 190: | ||
| summary(aov.dat.all2) | summary(aov.dat.all2) | ||
| aov.dat.all # what is standard error of residuals | aov.dat.all # what is standard error of residuals | ||
| + | |||
| + | # post-hoc test | ||
| + | TukeyHSD(aov.dat.all) | ||
| + | TukeyHSD(aov.dat.all, | ||
| + | TukeyHSD(aov.dat.all, | ||
| + | TukeyHSD(aov.dat.all, | ||
| + | boxplot(dat$y~dat$a) | ||
| + | boxplot(dat$y~dat$b) | ||
| + | plot(TukeyHSD(aov.dat.all, | ||
| + | las = 2 # rotate x-axis tick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ee another e.g. at | ||
| + | # https:// | ||
| + | # | ||
| + | # | ||
| + | |||
| </ | </ | ||
| Line 641: | Line 669: | ||
| > | > | ||
| </ | </ | ||
| + | ====== output interpreta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상호작용효과 포함 해석 | ||
| + | * drug1의 효과에 운동의 역할은 아주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 ||
| + | * 반면에 drug2, 3에 한해서는 운동의 역할은 제한적이었다. | ||
| + | * 특히 drg3의 경우 운동이 효과를 증대시키기는 하였지만 그것이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것은 아니었다. | ||
| + | * 또한 drg2의 경우 운동이 오히려 효과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이 또한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었다. | ||
| + | * 이를 통해서 drg1을 처치받는 환자의 경우에는 운동을 꼭 하도록 하여야 함을 알 수 있고 | ||
| + | * drg2의 경우에는 그 효과가 미미하므로 권장을 하는 정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
| + | 혹은 | ||
| + | * drg1과 운동이 병행 된 경우에는 대부분의 다른 처방보다 월등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
| + | * 운동이 병행된 drg1과 drg3의 | ||
| + | * drg2의 운동유무, | ||
| + | |||
| + | {{: | ||
c/ms/2025/w07.2_factorial_anova.1745192952.txt.gz · Last modified: by hkimsci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