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Next revision | Previous revision |
| internet_history [2025/10/15 23:45] – [1962] hkimscil | internet_history [2025/11/04 03:08] (current) – [1998] hkimscil |
|---|
| <WRAP clear></WRAP> | <WRAP clear></WRAP> |
| ===== 1962 ===== | ===== 1962 ===== |
| {{:engelbart.gif?105 |}} **Douglas Engelbart : NLS, Mouse** . | {{:engelbart.gif?105 |}} **[[douglas engelbart|Douglas Engelbart]] : NLS, Mouse** . |
| Stanford Research Institute (SRI) 에서 미래 컴퓨팅에 대한 비전을 [[http://www.bootstrap.org/augdocs/friedewald030402/augmentinghumanintellect/ahi62index.html|Augmenting human intellect: A conceptual framework]]에서 제시하고, 다음해에 리서치 랩을 개설하여 그룹웨어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잇는 NLS (oNLines System)이라는 hypermedia를 발전시켰으며, Mouse를 처음으로 고안하여 사용하였다. 그의 이런 기술 구현과 아이디어는 너무도 혁신적이어서 1968년 San Francisco에서 열린 Fall Joint Computer 학회에서, 30 마일 떨어진 자신의 랩의 연구원들의 원격 비디오 상영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에서 이 아이디어의 발전상황을 소개했을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종의 사기라고 생각했을 정도였다. Engelbart는 NLS 연구는 ARPA 펀드에 의한 것이었다. | Stanford Research Institute (SRI) 에서 미래 컴퓨팅에 대한 비전을 [[http://www.bootstrap.org/augdocs/friedewald030402/augmentinghumanintellect/ahi62index.html|Augmenting human intellect: A conceptual framework]]에서 제시하고, 다음해에 리서치 랩을 개설하여 그룹웨어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잇는 NLS (oNLines System)이라는 hypermedia를 발전시켰으며, Mouse를 처음으로 고안하여 사용하였다. 그의 이런 기술 구현과 아이디어는 너무도 혁신적이어서 1968년 San Francisco에서 열린 Fall Joint Computer 학회에서, 30 마일 떨어진 자신의 랩의 연구원들의 원격 비디오 상영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에서 이 아이디어의 발전상황을 소개했을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종의 사기라고 생각했을 정도였다. Engelbart는 NLS 연구는 ARPA 펀드에 의한 것이었다. |
| <WRAP clear></WRAP> | <WRAP clear></WRAP> |
| <WRAP box 800px> | <WRAP box 800px> |
| **TCP**. | **TCP**. |
| [[Vint Cerf|Vint Cerf]]와 Bob Kahn은 UCLA에서 __A Protocol for Packet Network Intercommunication__ ({{:cerf74.pdf|PDF}}) 논문을 발표하여 transmission-control protocol (TCP)의 개념을 소개한다. 당시 BBN에 의해서 배달된 IMPS를 관리 감독하던 그는 packets을 전송하여도 처리하는 방식이 각 host 컴퓨터마다 달라서 연결은 가능하되 커뮤니케이션은 할 수 없는 상태가 될 수 있다는 문제점에서 공통적인 packet 처리 기술의 기반으로 TCP를 제안하고, 이를 gateway 컴퓨터가 송수신하는 것으로 ARAPNET의 통합적인 연결을 제안한다. 후에 이 기술은 TCP와 Internet Protocal (IP) 파트로 재조정된다 (TCP/IP). | [[Vint Cerf|Vint Cerf]]와 Bob Kahn은 UCLA에서 __A Protocol for Packet Network Intercommunication__ ({{:cerf74.pdf|PDF}}) 논문을 발표하여 transmission-control protocol (TCP)의 개념을 소개한다. 당시 BBN에 의해서 배달된 IMPS를 관리 감독하던 그는 packets을 전송하여도 처리하는 방식이 각 host 컴퓨터마다 달라서 연결은 가능하되 커뮤니케이션은 할 수 없는 상태가 될 수 있다는 문제점에서 공통적인 packet 처리 기술의 기반으로 TCP를 제안하고, 이를 gateway 컴퓨터가 송수신하는 것으로 ARAPNET의 통합적인 연결을 제안한다. 후에 이 기술은 TCP와 Internet Protocal (IP) 파트로 재조정된다 (TCP/IP). |
| | [[google>how tcp works]] |
| |
| ===== 1975 ===== | ===== 1975 ===== |
| [[:Tim Berners-Lee|Tim Berners-Lee]]가 WorldWideWeb을 발표한다. Oxford University 물리학과를 졸업한 후에 일하던 직장이 사정이 어렵게 되자, CERN 에서 part-time으로 일을 하게 되는데, 이 때, ENQUIRE를 개발한다. 이는 훗날 WorldWideWeb이라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가 된다. 그는 1991년 8월 6일 alt.hypertext 뉴스그룹 (Usenet)에 이 월드와이드웹에 대한 기술을 발표하게 되는데, 이 날짜가 월드와이드웹의 시작일로 알려지게 된다 ((참조: http://groups.google.com/group/alt.hypertext/msg/395f282a67a1916c))). | [[:Tim Berners-Lee|Tim Berners-Lee]]가 WorldWideWeb을 발표한다. Oxford University 물리학과를 졸업한 후에 일하던 직장이 사정이 어렵게 되자, CERN 에서 part-time으로 일을 하게 되는데, 이 때, ENQUIRE를 개발한다. 이는 훗날 WorldWideWeb이라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가 된다. 그는 1991년 8월 6일 alt.hypertext 뉴스그룹 (Usenet)에 이 월드와이드웹에 대한 기술을 발표하게 되는데, 이 날짜가 월드와이드웹의 시작일로 알려지게 된다 ((참조: http://groups.google.com/group/alt.hypertext/msg/395f282a67a1916c))). |
| <WRAP clear></WRAP> | <WRAP clear></WRAP> |
| | \\ |
| {{ :viola_plotdemo.jpg?205|}}**Viola**. | {{ :viola_plotdemo.jpg?205|}}**Viola**. |
| UC Berkely 대의 [[http://www.xcf.berkeley.edu/~wei/|Pei-Yuan Wei]] 학생이 [[http://www.viola.org/|Viola]] 개발, 다음 해에 졸업 후에 WWWViola로 가다듬어 발전 시킨다 (현재는 https://www.viola.org/ 참조). Viola는 X-windows (Unix)에서 돌아가는 browser로서 현재의 CSS stylesheet의 개념, 도큐멘트의 insertion 등등 오늘 날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테크놀로지가 포함될 정도로 시대를 앞서는 것이었다. 이런 기술에도 불구하고, WWWViola는 X-windows (Unix flavor)에서만 돌아가는 브라우저였기에, 후에 Mosaic이 브라우저의 대중화를 이루어냈다고 평가된다. | UC Berkely 대의 [[http://www.xcf.berkeley.edu/~wei/|Pei-Yuan Wei]] 학생이 [[http://www.viola.org/|Viola]] 개발, 다음 해에 졸업 후에 WWWViola로 가다듬어 발전 시킨다 (현재는 https://www.viola.org/ 참조). Viola는 X-windows (Unix)에서 돌아가는 browser로서 현재의 CSS stylesheet의 개념, 도큐멘트의 insertion 등등 오늘 날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테크놀로지가 포함될 정도로 시대를 앞서는 것이었다. 이런 기술에도 불구하고, WWWViola는 X-windows (Unix flavor)에서만 돌아가는 브라우저였기에, 후에 Mosaic이 브라우저의 대중화를 이루어냈다고 평가된다. |
| <WRAP clear></WRAP> | <WRAP clear></WRAP> |
| | \\ |
| {{:przimmermann-in-dublin.jpg?150 |}}**Pretty Good Privacy (PGP)** | {{:przimmermann-in-dublin.jpg?150 |}}**Pretty Good Privacy (PGP)** |
| Philip Zimmermann이 [[http://www.philzimmermann.com/EN/background/index.html|Pretty Good Privacy]] (PGP)을 개발한다 ((Zimmermann의 [[http://www.philzimmermann.com/EN/essays/WhyIWrotePGP.html|왜 나는 PGP를 썼는가]] 문서 참조)). 당시의 미국은 암호학 프로그램은 무기로 취급이 되었던터라, 그는 이 프로그램을 시작으로 미 관세국으로부터 "무기수출에 대한 위반"의 조사를 3년간 받지만 혐의 없음으로 기소되지는 않는다. | Philip Zimmermann이 [[http://www.philzimmermann.com/EN/background/index.html|Pretty Good Privacy]] (PGP)을 개발한다 ((Zimmermann의 [[http://www.philzimmermann.com/EN/essays/WhyIWrotePGP.html|왜 나는 PGP를 썼는가]] 문서 참조)). 당시의 미국은 암호학 프로그램은 무기로 취급이 되었던터라, 그는 이 프로그램을 시작으로 미 관세국으로부터 "무기수출에 대한 위반"의 조사를 3년간 받지만 혐의 없음으로 기소되지는 않는다. |
| | \\ |
| **US High Performance Computing Act** | **US High Performance Computing Act** |
| US High Performance Computing Act (Gore 1) 가 Gore에 의해서 사인되고 NREN (National Research and Education Network) 가 만들어진다. | US High Performance Computing Act (Gore 1) 가 Gore에 의해서 사인되고 NREN (National Research and Education Network) 가 만들어진다. |
| <WRAP clear></WRAP> | <WRAP clear></WRAP> |
| | \\ |
| <WRAP #tim_letter_to_usenet /> | <WRAP #tim_letter_to_usenet /> |
| | \\ |
| 참조: Berners-Lee 가 newsgroup, alt.hypertext에 남긴 내용 | 참조: Berners-Lee 가 newsgroup, alt.hypertext에 남긴 내용 |
| <code> | <code> |
| **Zen and the Art of the Internet, Kehoe** \\ | **Zen and the Art of the Internet, Kehoe** \\ |
| <wrap indent>Brendan Kehoe가 인터넷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설명서인 [[http://www.cs.indiana.edu/docproject/zen/zen-1.0_toc.html|Zen and the Art of the Internet]] 문서를 제작, 배포한다. </wrap> \\ | <wrap indent>Brendan Kehoe가 인터넷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설명서인 [[http://www.cs.indiana.edu/docproject/zen/zen-1.0_toc.html|Zen and the Art of the Internet]] 문서를 제작, 배포한다. </wrap> \\ |
| | \\ |
| **Usenet hierarchy structure was settled** \\ | **Usenet hierarchy structure was settled** \\ |
| <wrap indent>[[http://www.cs.indiana.edu/docproject/zen/zen-1.0_6.html#SEC39|Usenet의 hierarchy 특성]]</wrap> | <wrap indent>[[Usenet|Usenet의 hierarchy 특성]]</wrap> |
| |
| ===== 1993 ===== | ===== 1993 ===== |
| |
| ===== 1994 ===== | ===== 1994 ===== |
| **Shopping mall** \\ | **World Wide Web Consortium** |
| | Tim Berners-Lee 의 directorship 아래 W3C 기구가 만들어져서, html 문서 공유의 specification 등이 **자발적으로** 통일화된다. |
| | |
| | **Shopping mall** |
| 쇼핑몰이 등장한다. | 쇼핑몰이 등장한다. |
| |
| **Spam, Spam** \\ | **Spam, Spam** |
| Arizona 법률회사인 Canter , Siegel사가 인터넷을 통해서 green card (영주권을 따기위한 취업허가서) 서비스를 해준다는 spam이 광범위하게 퍼지게 된다((이 스팸메일에 대한 경고성 토론이 news.admin.misc에 올라오게 된다. 참조: ftp://d.armory.com/pub/user/leavitt/html/cands.report.html)). | Arizona 법률회사인 Canter , Siegel사가 인터넷을 통해서 green card (영주권을 따기위한 취업허가서) 서비스를 해준다는 spam이 광범위하게 퍼지게 된다((이 스팸메일에 대한 경고성 토론이 news.admin.misc에 올라오게 된다. 참조: ftp://d.armory.com/pub/user/leavitt/html/cands.report.html)). |
| |
| {{ :netscapelogo.png?105|}}{{ :64px-internet_explorer_7_logo.png?105|}} | {{ :netscapelogo.png?105|}}{{ :64px-internet_explorer_7_logo.png?105|}} |
| **WWW service catches up with other technologies** \\ | **WWW service catches up with other technologies** |
| 인터넷 서비스 사용량: ftp > WWW > telnet 이었으나 WWW > ftp 를 압도하기 시작 | 인터넷 서비스 사용량: ftp > WWW > telnet 이었으나 WWW > ftp 를 압도하기 시작 |
| |
| ===== 1998 ===== | ===== 1998 ===== |
| **Domain Name** \\ | **Domain Name** \\ |
| 도메인 이름이 본격적으로 상품화: business.com = US $150,000 -> 지금, [[http://www.business.com|business.com]] | 도메인 이름이 본격적으로 상품화: business.com = US $150,000 -> |
| | 후에 이 도메인은 결국 $345 million 의 거래기록을 갖게 된다. |
| | 그러나, 현재에는, [[http://www.business.com|business.com]] |
| | -- |
| | <blockquote> |
| | [[google>sale record for domain names]] . . . . The highest recorded sale for a domain name is Cars.com for \$872 million. Other record-breaking sales include Business.com (\$345 million), Voice.com (\$30 million), and VacationRentals.com (\$35 million). Many sales, especially top-tier ones, are not always public, but a review of disclosed sales provides insight into the value of premium domain names. </blockquote> |
| |
| ====== 2000s ====== | ====== 2000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