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현황
지상파 방송
종합유선방송사업자 (MSO)
방송채널사용사업자 (MPP)
위성방송사업자
이동형멀티미디어방송사업자 (DMB)
인터넷방송사업자 (IPTV)
지상파 방송
지상파방송 참조
KBS, MBC, SBS, EBS 의 공영방송과 50여개의 지방방송국
공영방송, 민영방송, 공영+민영방송 형태
미국의 Network 시스템과 비슷한 조직과 운영
Channels:
공영방송 4개: KBS1, KBS2, MBC, EBS
민영방송 8개: SBS, PBS(부산방송), TBC(대구방송), KBC(광주방송), TJB(대전방송), UBS(울산방송), JTV(전주방송), CJB(청주방송)
독과점적인 운영, 서비스
KBS: 9개 방송총국 + 7개 지방방송국 (직할국 체계)
부산, 창원, 대구, 광주, 전주, 대전, 청주, 춘천, 제주 – 방송총국
울산, 진주, 안동, 포항, 충주, 강릉, 원주 – 지방방송국
MBC: (계열사 체계) 지방계열사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전주, 춘천, 청주, 제주, 울산, 강릉, 목포, 여수, 안동, 원주, 충주, 삼척, 포항, MBC 경남. (18개 계열사)
SBS: (가맹사 체계) 민영방송이므로 지국을 둘 수 없어서, 지역민영방송과 제휴관계(affiliation)를 맺어 방송송출
KBS (한국방송공사)
국가 기간방송 역할
TV와 Radio:
KBS1, KBS2, 지상파 DMB 4개채널
AM 4개, FM 2개 채널 운영
직할국 체제
중앙집권적 프로그램 제작 배분
조직내 일체감 및 경쟁심 . . .
MBC (문화방송)
주식회사 형태의 공영방송사
공익재단인 방송문화진흥회를 대주주로 두고
경영은 광고수익에 의존
채널
MBC, DMB 3개 채널
AM, FM 3개 채널 운영
계열사 체제의 전국 네트워크
지방계열사는 형식상 독립 법인체이나 사장 선임 등 본사의 지위∙협의 필요
책임경영 방식 도입으로 계열사의 경영 자율성 일정 부분 보장 (계열사의 판단과 경영 상태에 따라 조직 운영, 지역 특성 프로그램 적극 제작 가능)
본사 위주의 권위주의적 편성이 이루어지기 쉽고, 본사에 비해 열악한 근무 환경으로 사기 저하 및 위화감 조성 우려
SBS
EBS
OBS
종합유선방송사업자 (MSO)
시청자(유료) - NO - SO - PP + 지상파방송사
사업자명 | 소유 SO 숫자 |
티브로드 | 22 |
CJ Hello Vision | 19 |
C&M | 18 |
현대 HCN | 22 |
CMB | 22 |
MSO 전체 | 76 개사 |
독립 SO | 18 개사 |
Total | 94 개사 |
방송채널사용사업자 (MPP)
지상파방송사업자나 종합유선방송사업자 또는 위성방송사업자의 특정 채널 전부 또는 일부 시간에 대한 전용사용계약을 체결하여 그 채널을 사용하는 사업자
방송프로그램을 시청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을 가지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지상파, 케이블, 위성 등의 방송채널을 임대하여 방송
초기 케이블 방송에 한정되었으나 이후 위성, 지상파, DMB등으로 프로그램 공급기회 확대
2012년 11월 현재 방송채널사용사업자는 156개, 데이터사업자는 22개로 총 178개 사업자가 있음
종합편성채널, 보도채널, 홈쇼핑 채널은 방송통신위원회의 허가로 설립. 나머지는 방송통신위원회 등록으로 설립
참조: Multiple Program Provider
위성방송사업자
이동형멀티미디어방송사업자 (DMB)
인터넷방송사업자 (IP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