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시장
방송시장의 구조
지리적 구분에 따른 방송시장
방송사들은 특정한 지리적 시장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광고시장 운영
지상파방송 네트워크와 위성방송, 위성DMB 등은 전국을 대상으로 방송하는 반면, 케이블TV와 지역민방은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방송
-
요금
이동성
방송경영 현황
방송산업 매출
방송경형 현황
지상파방송은 2011년 당기순이익이 전반적으로 증가
방송채널사용사업은 당기순이익이 5,770억원으로 전년 대비 4.3% 증가했으나 이는 홈쇼핑PP의 당기순이익 증가(28.5%)에 의한 것으로 나머지 PP는 당기순이익이 전년(1,292억 원) 대비 크게 감소한 322억 원에 불과
방송산업 인력
방송산업 종사자 수는 2011년 12월 말 기준 3만 2,443명으로 전년(2만 9,878명)보다 8.6% 증가
방송채널사용사업의 경우 종합편성채널의 개국으로 22.5% 증가한 반면, 종합유선방송은 1.1% 감소
방송산업 사업 결합
방송사업자들의 수직적, 수평적 결합을 통한 시장지배력의 확대 현상 강화
MSO(복수종합유선방송사업자)의 시장점유율은 85.6%로 전년보다 상승
MPP(복수방송채널사용사업자)의 시장점유율은 72.5%로 전년(65.5%)보다 크게 증가
방송 프로그램 제작과 유통
우리나라 방송산업의 방송 프로그램 제작과 구매 비용은 총 2조 1,668억 원으로 전년 대비 18% 증가
지상파방송사는 외주제작비가 다소 증가한 반면 자체체작비와 구매비는 감소
방송채널사용사업은 제작비가 전년 대비 40.3%나 크게 증가
프로그램 수출입
방송 프로그램은 수출 2억 335만 달러, 수입은 1억 2,792만 달러로
지상파의 수출은 일본, 대만, 중국에 집중되어 있고
수입은 미국, 영국에 집중
장르로는 드라마 수출 비중이 94.9%로 압도적
방송시장 개방현황
해외 자본의 국내법인 설립을 통한 PP 투자가 현행 50%에서 100%까지 허용
지상파방송 외 PP 등에 적용되는 국산 프로그램 의무편성 비율을 완화,
영화는 현행 25%에서 20%로,
애니메이션은 현행 35%에서 30%로 조정
특정 국가의 프로그램이 전체 외국산 프로그램의 특정 비율 이상을 점유하지 못하도록 하는
1개국 쿼터를 현행 60%에서 80%로 확대
시장 개방과 방송 경영의 영향
긍정적 영향
경쟁을 통한 방송시장의 활성화
신규시장 개척을 통한 프로그램의 수출 확대
방송시장 개방으로 인한 시청자의 선택 폭이 확대
부정적 영향
해외 방송사들의 국내 방송시장 점유율 확대
저작권 분쟁으로 인해 방송경영에 타격
방송시장.txt · Last modified: 2015/10/12 09:56 by hkimsc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