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Tools

Site Tools


방송의_사회적_영향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Last revisionBoth sides next revision
방송의_사회적_영향 [2017/11/02 07:44] – [방송 프로그램과 생활] hkimscil방송의_사회적_영향 [2020/12/04 23:11] – [방송 이용시간] hkimscil
Line 5: Line 5:
     * 그러나,      * 그러나,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1/11/0200000000AKR20160111149100033.HTML|"스마트폰 없인 못살아" 46.4%…‘필수매체’TV 첫 추월]], 연합뉴스 2016/01/11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1/11/0200000000AKR20160111149100033.HTML|"스마트폰 없인 못살아" 46.4%…‘필수매체’TV 첫 추월]], 연합뉴스 2016/01/11
-        * <WRAP box>조사결과, 일상에서 스마트폰의 중요도는 전년 43.9%에서 지난해 46.4%로 높아졌다. 반면 TV의 중요도는 44.3%에서 44.1%로 0.2%포인트 떨어져 스마트폰에 처음으로 뒤졌다. +        * <WRAP box help>조사결과, 일상에서 스마트폰의 중요도는 전년 43.9%에서 지난해 46.4%로 높아졌다. 반면 TV의 중요도는 44.3%에서 44.1%로 0.2%포인트 떨어져 스마트폰에 처음으로 뒤졌다. 
 연령별로 보면 10대(67.9%), 20대(69.5%), 30대(63.0%), 40대(54.1%) 등은 스마트폰을 가장 필수적인 매체로 선택했다. 50대와 60대 이상은 TV를 필수매체로 꼽은 비율이 각각 57.0%, 86.6%로 스마트폰보다 많았다. 연령별로 보면 10대(67.9%), 20대(69.5%), 30대(63.0%), 40대(54.1%) 등은 스마트폰을 가장 필수적인 매체로 선택했다. 50대와 60대 이상은 TV를 필수매체로 꼽은 비율이 각각 57.0%, 86.6%로 스마트폰보다 많았다.
 </WRAP> </WRAP>
-      같은 뉴스 다른 뉴앙스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397971sssss|KBS 뉴스]] ((see [[:Agenda Setting Theory|Agenda Setting]] or [[:media frame]])+  *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314615|2018 방송매체 이용행태]] 정책브리핑.  
-    * 방송시청의 행위가 스마트 폰으로 옮겨갔을 수도 +    * 일상생활에서의 인식 변화 : 스마트폰, TV (15년) 46.4%, 44.1% → (18년57.2%, 37.3% 
-    * {{Media_Use.jpg?400}} +  * 방송시청의 행위가 스마트 폰으로 옮겨갔을 수도 
-    * {{Media_Use_a_Day.jpg?400}}+  * {{Media_Use.jpg?400}} 
 +  * {{Media_Use_a_Day.jpg?400}}
      
   * 엄청난 방송 시청 시간의 의미 - 방송이 개인과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엄청난 방송 시청 시간의 의미 - 방송이 개인과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Line 37: Line 38:
   * 또한 방송은 판매와 소비 행태를 변화 시킴   * 또한 방송은 판매와 소비 행태를 변화 시킴
     * 홈쇼핑의 등장과 확산은 상품의 판매와 소비에서 방송의 비중을 확대시킴     * 홈쇼핑의 등장과 확산은 상품의 판매와 소비에서 방송의 비중을 확대시킴
-    * 향후 디지털화에 따라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되면 영향력 확대 예상((TV 매체보다 다른 매체를 이용한 쇼핑에 친숙한 세대가 TV 쇼핑을 버릴 수도 있음))+    * 향후 디지털화에 따라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되면 <fc #ff0000>영향력 확대 예상</fc> 
 +    * <WRAP box 60% help><fs large>그러나,</fs> TV 매체보다 다른 매체를 이용한 쇼핑에 친숙한 세대가 TV 쇼핑을 버릴 수도 있음. TV 매체가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어떤 형식의 서비스나 상품을 제시할 것인가에 초점을 두어서 분석, 예측해야 할 것. 
 +</WRAP>
   *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IPTV 등 유료방송 가입 가구는 조사대상의 89.1%   *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IPTV 등 유료방송 가입 가구는 조사대상의 89.1%
  
Line 46: Line 49:
     * 사회 안전과 발전을 위협하는 요인을 알려주어 예방하도록 돕거나 사고의 신속 보도로 피해 최소화     * 사회 안전과 발전을 위협하는 요인을 알려주어 예방하도록 돕거나 사고의 신속 보도로 피해 최소화
     * 일기예보, 교통정보 등 다양한 생활정보 제공     * 일기예보, 교통정보 등 다양한 생활정보 제공
-  * 환경감시에 소홀할 경우 사회 발전을 가로막거나 기존 체제를 유지하는 이데올로기 효과로 비판+  * <fc #ff0000>환경감시에 소홀</fc>할 경우 사회 발전을 가로막거나 기존 체제를 유지하는 이데올로기 효과로 비판
  
 ===== 해설 처방 기능 ===== ===== 해설 처방 기능 =====
   * 사회적 현안을 다루는 과정에서 이해갈등을 해소하는 사회통합 기능을 수행   * 사회적 현안을 다루는 과정에서 이해갈등을 해소하는 사회통합 기능을 수행
   * 새로운 정보가 얼마나 중요한지 평가하고,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사회와 구성원이 해결하도록 도움   * 새로운 정보가 얼마나 중요한지 평가하고,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사회와 구성원이 해결하도록 도움
-<WRAP box>+  * <WRAP box help 60%>
 방송은 사회를 유지시키는가? 아니면 변화시키는가?  방송은 사회를 유지시키는가? 아니면 변화시키는가? 
 시장의 아주머니는 방송을 보면서 어떤 영향을 받는가? p.231 시장의 아주머니는 방송을 보면서 어떤 영향을 받는가? p.231
Line 58: Line 61:
 ===== 문화 전승과 사회화 기능 ===== ===== 문화 전승과 사회화 기능 =====
   * 공동체가 갖고 있는 사상, 가치, 기술, 지식 등을 세대별로 학습하고 전승시키는 것   * 공동체가 갖고 있는 사상, 가치, 기술, 지식 등을 세대별로 학습하고 전승시키는 것
-  * 문화전승과 사회화의 주체가 부모와 친족, 스승에서 매스미디어로 변화 +  * 문화전승과 사회화의 주체가 부모와 친족, 스승에서 매스미디어로 변화  
-    * 획일적 문화 형성 및 사회화 방식 통일+    * 공동체의 mass화 -- 획일적 문화 형성 및 사회화 방식 통일
   * 방송을 통해 시청자는 사회에서 지켜야 할 규범이나 가치관을 수용하여 사회의 일원으로 역할하는 사회화가 이루어짐   * 방송을 통해 시청자는 사회에서 지켜야 할 규범이나 가치관을 수용하여 사회의 일원으로 역할하는 사회화가 이루어짐
 ===== 오락 기능 ===== ===== 오락 기능 =====
Line 73: Line 76:
   * 시청자 확보를 위한 노력  - 스타 등장, 갈등 관계 부각, 자극적인 뉴스   * 시청자 확보를 위한 노력  - 스타 등장, 갈등 관계 부각, 자극적인 뉴스
 ==== 문화수준의 저급화 ==== ==== 문화수준의 저급화 ====
-  * 더 많은 시청자를 확보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제작 과정에서 흥미를 자극하는 소재를 찾게 되고 이는 공중의 취향을 저급화 – 삼각관계, 불륜, 배신과 복수 등+  * 더 많은 시청자를 확보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제작 과정에서 흥미를 자극하는 소재를 찾게 되고 이는 공중의 취향을 저급화 – 삼각관계, 불륜, 배신과 복수 등 (([[http://webzine.sticho.co.kr/cnt/index.php?no=788&tag=%EB%A7%89%EC%9E%A5%20%EB%93%9C%EB%9D%BC%EB%A7%88&opendate=&keyword=|희대의 막장 드라마 5편, 스티코웹진]] 이승미)) 
   * 방송은 고급문화를 일반 대중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청자들의 공감을 위해 순수예술적 취향을 저급화    * 방송은 고급문화를 일반 대중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청자들의 공감을 위해 순수예술적 취향을 저급화 
-    * 방송의 대중 지향으로 예술은 수용자를 확대할 수 있으나 고급예술은 순수성을 희생하고, 이윤창출이라는 상업성을 채택하여 대중의 저급한 취향에 종속+    * 방송의 대중 지향으로 예술은 수용자를 확대할 수 있으나 고급예술은 순수성을 희생하고, 이윤창출이라는 상업성을 채택하여 <fc #ff0000>대중의 저급한 취향</fc>에 종속 
 +    * <WRAP box help>대중의 저급한 취향? Who decides what's better for the public? 
 +</WRAP>
 ==== 소비문화 ==== ==== 소비문화 ====
   * 방송은 광고와 프로그램을 통해 소비에 영향   * 방송은 광고와 프로그램을 통해 소비에 영향
Line 85: Line 90:
   * 방송 내용이 시청자에게 쉽고, 빠르게 전달되기 위해 등장인물의 전형적 이미지가 형성되고, 반복적으로 활용   * 방송 내용이 시청자에게 쉽고, 빠르게 전달되기 위해 등장인물의 전형적 이미지가 형성되고, 반복적으로 활용
   * 특정 계층/직업/지역에 대해 편향되게 묘사할 경우 시청자의 편향된 인식이 고착화되고 해당 계층 등은 불이익을 받을 가능성   * 특정 계층/직업/지역에 대해 편향되게 묘사할 경우 시청자의 편향된 인식이 고착화되고 해당 계층 등은 불이익을 받을 가능성
 +  * <WRAP box help 60%>"어두워서 안 계신 줄" TV방송이주민에 차별적 표현 적잖다
 +
 +'다문화 아동' 지칭도 차별. 인권위, 개선권고
 +
 +"(피부색이 어두워) 사람이 안 계신 줄 알았어요." (2013년 7월 8일 KBS2 TV '대국민토크쇼 안녕하세요'사회자가 아프리카 출신 유학생) "꽃제비들이 10달러 내지 100달러에 중국에 팔려 간다. 우리 나라에 들어온 탈북 여성 중 85%가 성병을 갖고 있다." (2013년 5월 6일 JTBC '뉴스 콘서트' 출연자) 
 +
 +10일 국가인권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5~10월 4개 지상파방송과 4개 종합편성채널의 35개 TV프로그램을 모니터한 결과, 인종적·문화적 편견을 조장하거나 한국문화를 지나 강요하는 등 문제가 드러났다. 인권위는 이날 방송사들에 이주민과 외국인에 대한 차별적 표현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라는 권고안을 보냈다.
 +
 +또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는 프로그램 심의 시 이런 내용에 유의할 것을 권고했다.
 +
 +인권위 관계자는"이주민이 150만 명을 넘은 상황에서 뉴스나 오락 프로그램 등 사회적 파급력이 큰 방송에서 이주민에 대한 편견이 드러나는 표현이나 차별적 용어를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밝혔다.
 +
 +인권위는 권고안에서 '검은 머리 외국인'이나'푸른 눈 외국인'같은 표현도 신체 특정 부분의 색을 인종과 연결시켜 자칫 편견을 조장하거나 고정관념을 고착화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
 +법률·정책적 용어로 사용하고 있지만 다양한 이 주 배경을 가진 아동들을 굳이'다문화'로 구분해 지칭하는 것 역시 차별이라는 견해도 제시했다.
 +
 +인권위는 또 인종차별 해소 의도로 제작한 프로그램에서 한국어가 유창한 외국인 출연자가 욕을 구사하게 한 것이 오히려 특정 국가나 인종에 부정적 인식을 줄 수 있고,인종차별 실태를 비판하면서 결혼이주여성 등에 대한 욕설이 긴 인터넷 게시물을 노출한 것은 과도한 사생활 침해라고 지적했다.
 +
 +인권위는 2012년'이주인권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관련 부처들에 배포한 후 이행 여부를 살피고 있다.
 +
 +안아람 기자 oneshot@hk.co.kr
 +
 +</WRAP>
 ==== 비현실성: 환상과 현실도피 ==== ==== 비현실성: 환상과 현실도피 ====
   * 텔레비전에 대한 과도한 몰입에서 발생하는 역기능   * 텔레비전에 대한 과도한 몰입에서 발생하는 역기능
Line 142: Line 170:
   * '수용자들이 미디어로 무엇을 하느냐?'  <수용자 중심>   * '수용자들이 미디어로 무엇을 하느냐?'  <수용자 중심>
   * 수용자가 능동적이고 목적 지향적인 존재임을 가정하고 스스로의 욕구 충족을 위해 미디어를 선택해 이용    * 수용자가 능동적이고 목적 지향적인 존재임을 가정하고 스스로의 욕구 충족을 위해 미디어를 선택해 이용 
-  * [[http://wiki.commres.org/wiki.php/UsesAndGratifications|Uses and Gratifications]]+  * [[:Uses and Gratification|Uses and Gratification]]
  
 ===== 침묵의 나선 이론 ===== ===== 침묵의 나선 이론 =====
Line 148: Line 176:
   * 유권자가 지지하는 정당과 후보가 매스미디어에 의해 다수의 지지를 받는다고 보도될 경우 스스로의 입장을 적극 밝히는 반면, 소수의 지지를 받는다고 보도되면 사회적 고립감을 회피하기 위해 자신의 입장을 드러내지 않음   * 유권자가 지지하는 정당과 후보가 매스미디어에 의해 다수의 지지를 받는다고 보도될 경우 스스로의 입장을 적극 밝히는 반면, 소수의 지지를 받는다고 보도되면 사회적 고립감을 회피하기 위해 자신의 입장을 드러내지 않음
   * 매스미디어가 강력한 효과를 내는 이유는 누적성, 편재성, 일치성의 결합   * 매스미디어가 강력한 효과를 내는 이유는 누적성, 편재성, 일치성의 결합
-  * See [[http://wiki.commres.org/wiki.php/SpiralOfSilence|the Spiral of Silence]]+  * See [[:Spiral of Silence]]
  
 ===== 틀짓기 이론 ===== ===== 틀짓기 이론 =====
방송의_사회적_영향.txt · Last modified: 2020/12/04 23:12 by hkimscil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