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Tools

Site Tools


방송의_사회적_영향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
Last revisionBoth sides next revision
방송의_사회적_영향 [2020/12/04 22:58] – [침묵의 나선 이론] hkimscil방송의_사회적_영향 [2020/12/04 23:11] – [방송 이용시간] hkimscil
Line 8: Line 8:
 연령별로 보면 10대(67.9%), 20대(69.5%), 30대(63.0%), 40대(54.1%) 등은 스마트폰을 가장 필수적인 매체로 선택했다. 50대와 60대 이상은 TV를 필수매체로 꼽은 비율이 각각 57.0%, 86.6%로 스마트폰보다 많았다. 연령별로 보면 10대(67.9%), 20대(69.5%), 30대(63.0%), 40대(54.1%) 등은 스마트폰을 가장 필수적인 매체로 선택했다. 50대와 60대 이상은 TV를 필수매체로 꼽은 비율이 각각 57.0%, 86.6%로 스마트폰보다 많았다.
 </WRAP> </WRAP>
-      같은 뉴스 다른 뉴앙스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397971sssss|KBS 뉴스]] ((see [[:Agenda Setting Theory|Agenda Setting]] or [[:media frame]])+  *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314615|2018 방송매체 이용행태]] 정책브리핑.  
-    * 방송시청의 행위가 스마트 폰으로 옮겨갔을 수도 +    * 일상생활에서의 인식 변화 : 스마트폰, TV (15년) 46.4%, 44.1% → (18년57.2%, 37.3% 
-    * {{Media_Use.jpg?400}} +  * 방송시청의 행위가 스마트 폰으로 옮겨갔을 수도 
-    * {{Media_Use_a_Day.jpg?400}}+  * {{Media_Use.jpg?400}} 
 +  * {{Media_Use_a_Day.jpg?400}}
      
   * 엄청난 방송 시청 시간의 의미 - 방송이 개인과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엄청난 방송 시청 시간의 의미 - 방송이 개인과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방송의_사회적_영향.txt · Last modified: 2020/12/04 23:12 by hkimscil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