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조
텔레비전 역사
최초의 텔레비전방송국 HLKZ-TV
1956년 KORCAD의 HLKZ-TV가 한국 최초의 텔레비전 방송
(NTSC식 방식, 세계 15번째, 아시아에서 4번째 개국)
경제적 어려움으로 1957년 한국일보 사주에게 양도, DBS(대한방송 주식회사)로 개편
1961년 KBS-TV 개국에 즈음하여 채널9와 제작 요원들을 넘겨주고 문을 닫음
1960년대
텔레비전방송국들의 개국
1961년 12월 31일 KBS-TV 개국(국영) – 박정희 정권의 ‘국민에게 드리는 선물’
1964년 12월 7일 DTV 개국. 이후 1965년 11월 JBS와의 합병으로 TBC_TV로 변화
1969년 8월 8일 MBC-TV 개국(교육방송으로 허가)
1970년대
1980년대
언론통폐합 그것이 알고 싶다 11회 참조
방송사 통폐합, 공영방송제도 및 컬러TV 도입
1980년 전두환 정권은 언론사 통폐합의 일환으로 방송사 통폐합 단행
언론기본법 제정, 공영방송제 채택, 컬러 TV 도입, KBS-3TV를 통해 교육방송 실시
1983년 6월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방송개시 (이후 136일간 454시간 방영/ 단일 프로그램 방송 최장기록)
1986년 시청료거부운동
1987년 선거방송 시작
1980년 후반 민주화 열풍으로 5공 정권의 언론통제의 법적 장치였던 언론기본법 폐기 등 방송민주화가 주요 쟁점으로 부각
동양 합동 | 양사통합, 폐간. 연합통신으로 발족 |
시사 산업 | 연합통신에 통합폐간 |
경제통신 |
KBS | TBC TVR, DBS, 전일방송, 서해방송 |
DBS | KBS에 흡수 |
TBC | KBS에 흡수 |
CBS | 보도기능을 없애고 복음방송만 전담 |
MBC | 21개 지방사 계열화 |
신문사 | 통폐합 |
신아일보 | 경향신문에 통합,폐간 |
서울경제 | 한국일보에 통합,폐간 |
내외경제 | 코리아 헤럴드에 통합,폐간 |
현대경제 | 전경련에서 인수/ 한국경제신문으로 개제 |
국제신문 | 부산일보에서 통합,폐간/ 부산일보로 개제 |
영남일보 | 매일신문에 통합,폐간/ 대구매일신으로 개제 |
전남매일 | 전남일보에서 통합,폐간/ 광주일보로 개제 |
경남일보 | 경남매일에 통합,폐간/ 경남신문으로 개제 |
1990년대
1990년 민영방송을 허용하고 태영을 민영방송 지배주주로 선정
1990년 교육방송 전문 채널 한국교육방송(EBS) 개국
1995년 1차 지역민영 텔레비전방송 개국(부산, 대구, 대전, 광주)
1997년 2차 지역민영 텔레비전방송 개국(인천, 울산, 전주, 청주)
2000년대
2000년 새로운 방송법 제정 – 시청자주권 명시, 편성쿼터제 도입
2001년 지상파TV의 디지털 방송 시작.
2001년 강원, 2002년 제주 민영방송국 개국
2005년 12월 낮방송 전면 허용
2005년 5월 위성DMB 개국
2006년 3월 수도권 지상파DMB 개국, 2007년 13개 지역으로 확대
2010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