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Tools

Site Tools


book:positive_computing:expert_perspectives_-_technology_for_mental_health

Expert Perspectives - Technology for Mental Health

< 100% 50% 50% >

Inspiring Projects – Opportunities for Mental Health and Technology

 Fig. 1: Jonathan Nicholas, Inspire Foundation
In 1998, Inspire launched the world's first online mental health service? ReachOut.com. Since that time, technology has transformed many aspects of our lives, from business to entertainment to how we connect to others. The potential for Internet and mobile technology to similarly transform mental health and wellbeing is enormous?particularly through the provision of targeted and scalable services that enable people to manage their own health. Through their ability to automate processes and scale efficiently, technology-based services can cast a wider net, simultaneously helping larger numbers of people and doing so more affordably. The result is a twenty-first-century model of mental health care that integrates traditional services, such as counseling, with scalable services that allow people to monitor, manage, and improve their own mental health. The goal should be to enable all people to access the right help at the right time in the way they want it.

Our experience of delivering ReachOut.com in Australia, Ireland, and the United States has provided some insight into how this might occur. ReachOut.com reaches 1.6 million unique visitors each year in Australia alone and has the potential to reach many more and for considerably lower cost than traditional commercial and government mental health services.

One of our biggest challenges in reaching this goal of a twenty-first- century mental health system will be to ensure that the user is placed at the center of that system and to build that system around mental health promotion. We can achieve these things by better integrating technology that enables people to manage and monitor their own wellbeing and assist them with evidence-based advice for personalized mental health care. As one of the pioneers in e?mental health, we are committed to this technology.

We recognize that we can't do it alone, however, and need to form partnerships with researchers and policymakers to build the evidence for these new services and then take them to scale. One of the challenges we continue to face is that “traditional” research processes are often unsuitable in a context where producing innovative and relevant services relies on much quicker timeframes. In this sense, we sincerely welcome positive-computing initiatives that center technology research and practice on mental health and wellbeing support.

Our experience of delivering e?mental health services for more than 15 years is that technology continues to provide exciting opportunities to improve and promote mental health. Taking advantage of these opportunities will require a commitment to research and collaboration between technical and clinical professionals and ultimately a commitment to developing a twenty-first-century mental health system that will enable all people to thrive.

영감을 주는 프로젝트 –
정신건강과 테크놀로지를 위한 기회


 Fig. 1: Jonathan Nicholas, Inspire Foundation
1988년 인스파이어 회사는 세계 최초의 온라인 정신건강 서비스를 출범하였다 (ReachOut.com). 이후 기술은 발전을 거듭하여 우리의 생활을 완전히 뒤바꾸어 놓았는데 비지니스 측면을 말할 것도 없고, 엔터테인먼트나 다른사람들과 사회적인 연결까지도 포함하는 것이었다. 비슷하게 정신건강과 웰빙을 완전히 바꿔놓을 수 있는 인터넷과 모바일 기술의 잠재적 역량은 (특히 사람들이 자신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표적화되고 확장가능한 서비스를 통한) 어마어마하다. 자동화된 프로세스와 효율적 규모의 경제 구현을 통해서, 기술기반 서비스는 많은 수의 사람들을 도울 수 있는 경제적으로 도울 수 있는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발전은 카운셀링과 같은 전통적인 서비스도 아우르는 정신건강캐어의 21세기적인 모델을 탄생하도록 하였는데, 사람들이 자신의 정신건강을 주관(monitor)하고, 관리(manage)하며, 향상(improve)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확장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결국 정신건강 캐어를 위한 테크놀로지의 목적은 사람들로 하여금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방법으로 원하는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호주와 아일랜드 그리고 미국의 ReachOut.com 론치를 준비해온 우리는 이런 온라인 정신건강 관리 서비스가 어떻게 나타나게 되는지에 대해 알수 있었다. ReachOut.com은 호주에서만 매년 1.6백만의 방문을 받고 있는데, 전통적 민영 혹은 공영 정신건강 서비스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훨씬 많은 방문자를 확보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

이런 21세기형 정신건강 시스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가장 큰 도전은 사용자들을 시스템의 중심에 놓고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될 것이다. 우리는 이를 사람들이 자신의 웰빙을 스스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을 통합함으로써 달성하고, 이를 통해 개인화된 정신건강관리(mental health care)를 위한 맞춤형 서비스를 과학적 근거에 기반해 제공할 수 있게 된다. e-health 분야의 선구자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회사로서 우리는 이 기술에 매진하고 있다.
.

그러나, 우리는 이를 혼자 할 수 없음을 알고 있다. 이 분야의 연구자들과 정책입안자들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이런 새로운 서비스가 성공적이라는 근거를 구축하고 이를 규모화(scale)하는 작업을 이루어야 한다. 우리가 직면한 도전 중 하나는 혁신적이면서 믿을만한 서비스가 훨씬더 빠른 시간프레임 속에서 이루어진다는 맥락에서 “전통적인” 연구 프로세스가 적당치 않다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우리는 진정으로 정신건강과 웰빙 지원에 관한 기술연구와 실습이 중심이 되는 긍정컴퓨팅 연구의 이니셔티브를 환영하는 입장이다.
.

지난 15년동안 e-health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느낀 점으로는 기술이 정신건강을 향상시키고 촉진시키는 어마어마한 기회를 제공해 주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기술을 십분활용하려면, 기술전문가와 의료전문가 간의 리서치와 협업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인류를 번영하게 하는 21세기형 정신건강 시스템 구축에 대한 헌신적인 노력이 요구될 것이다.

Inspiring Projects – Opportunities for Mental Health and Technology
 Fig. 3: Felicia Huppert, University of Cambridge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among researchers, organizations, and governments in measuring subjective wellbeing. We need to ask why this is, how it can be done, and what exactly should be measured. The “why” stems from the recognition that wellbeing arises from how we experience our lives, not the mere objective facts of our lives?such as our income, job, health, housing, and so on. There is evidence that people with high levels of wellbeing are healthier, more productive, and more creative and have better relationships with others, so high subjective wellbeing is a desirable goal for individuals and society alike.

How can subjective wellbeing be measured? Skeptics sometimes say that subjective experiences such as happiness cannot in principle be measured. Yet most of us are able to indicate how much we enjoyed a meal or a movie or rate our level of pain on a scale from 0 to 10 when asked by a doctor. Likewise, it is widely accepted that individuals can reliably rate symptoms of distress, such as sadness or anxiety, so there is no reason to suppose they cannot also reliably rate positive experiences. Perhaps more compellingly, many studies show that verbal reports of positive experiences such as happiness or interest are highly correlated with objective measures such as facial expression.

The field of subjective wellbeing has also received a great boost from neuroscience because it can be demonstrated that when people report particular experiences, there are patterns of brain activation in regions known to be involved in the neural pathways associated with such experiences.

Since it is important to measure subjective wellbeing, and it is clear that it can be done, we need to consider exactly what should be measured. Studies have traditionally used generic single-item questions about happiness or life satisfaction. But wellbeing is more than a positive feeling or a positive life evaluation. It involves both feeling good and functioning effectively. Feeling and functioning can be measured using questions with different timeframes, including ongoing experiences, recent experiences, and typical experiences.

Importantly, wellbeing is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that includes feelings, evaluations, and perceptions of how well a person is functioning across different aspects of his or her life. Scholars may differ in what they regard as the central components of wellbeing, but there is consensus about its multidimensional nature. In an empirically derived approach, the components of positive wellbeing (or flourishing) have been conceptualized as the opposite of the symptoms of ill-being?that is, the common mental disorders, namely depression and anxiety. This conceptualization has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ten features of flourishing: positive emotion, engagement, meaning, self-esteem, optimism, vitality, resilience, sense of competence, emotional stability, and positive relationships. Measuring multiple features of wellbeing in this way has allowed the discovery of major group and cross-national differences in wellbeing profiles. Future research using this approach can elucidate which features are affected by specific interventions or policies.

As distinguished economist Gus O'Donnell states in relation to wellbeing, “If you treasure it, measure it.”

영감을 주는 프로젝트 –
정신건강과 테크놀로지를 위한 기회

 Fig. 3: Felicia Huppert, University of Cambridge 과학자, 과학연구 조직, 그리고 각 국의 정부들 사이에서 주관적인 웰빙 측정에 대한 관심사는 꾸준히 증가하여 왔다. 우리는 사람들의 웰빙이 왜 측정이 되어야 하고, 어떻게 측정이 되어야 하며, 정확이 어떤 것(개념이나 현상)들이 측정되어야 하는가에 대해서 더 파고들어야 한다. 이 “왜”라는 것에 대한 질문은 웰빙이 사람들이 인생을 어떻게 경험하는가에서 출발한다는 점에 기인한다. 웰빙이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소득, 직장, 건강, 주거환경 등등을 초월하는 그 무엇이라는 것이다. 높은 수준의 웰빙을 경험하는 사람들은 보다 건강하고, 생산적이며 다른 사람들과 더 좋은 관계를 유지한다고 알려져 있다. 높은 수준의 주관적 웰빙이 개인과 사회를 막론하고 중요한 목표가 된다는 것이다.
.
.
.

주관적 웰빙이 어떻게 측정될 수 있는가? 회의론자들은 행복과 같은 주관적 경험은 원칙적으로 측정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우리들은 한끼의 식사나 영화를 얼마나 즐겼는지를 알릴 수 있으며, 의사에게 고통을 느끼는 정도를 0-10의 규모로 표현하고는 한다. 유사하게, 사람들은 슬픔이나 걱정과 같은 고충과 관련된 (distress) 증상에 점수를 메길 수 있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긍정적 경험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측정이 불가능하다고 받아들일 이유는 없다. 더 설득력 있는 설명은 우리가 느끼는 행복이나 관심과 같은 긍정경험에 대한 구두적인 기록과 (이전부터) 객관적이라고 받아들여져 왔던 표정(facial expression)과의 상관관계가 상당히 높다는 점이다.
.

신경과학 분야 또한 주관적 웰빙 분야에 많은 관심을 쏟아왔는데 이는 사람들이 특정 경험을 표현할 때, 그 경험과 관련된 신경경로f를 지나는 뇌 부분이 활성화되는 양식을 보이는 것을 밝혀왔기 때문이다.
.
.

이렇게 주관적인 웰빙의 측정이 중요하고 가능하기에, 정확히 어떤 것들이 측정이 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 전통적으로 이와 관련된 연구들은 전통적으로 행복이나 인생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포괄적 단일 아이템으로 이루어진 질문들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웰빙은 단순히 긍정적인 감정이나 긍적적인 인생평가를 넘어서는 무엇이다. 웰빙은 좋게 느끼는 것과 효율적으로 기능하는 것 두가지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느끼는 것과 기능하는 것은 (단일 아이템적인 질문보다는) 다른 시간적인 프레임을 바탕으로 하는 질문들을 이용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현재경험, 최근경험, 그리고 일반적인 경험 등에 대한 질문을 포함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웰빙이 다차원적인 구성(construct)으로서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본 인생사에서 한 개인이 어떻게 잘 기능하는가에 대한
감정과 평가, 그리고 지각(perceptions)을 포함하는 것이다. 웰빙에 포한되는 주된 요인(component)들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에 논란의 여지가 많지만, 이것이 여러개념을 포함하는 구성이라는것에 대해서는 모두가 동의하는 추세이다. 긍정적 웰빙의 요인들로는 부정적 웰빙 즉 우울, 분노와 같은 정신적 장애의 반대적인 것들이라고 개념화 되어왔다. 이런 개념화는 긍정적 만개의 열가지 특징으로 결론지어졌는데 긍정적 감성(positive emotion), 참여(engagement), 의미(meaning), 자존감(self-esteem), 낙관주의, 활력(vitality), 회복력 (resilience), 능력에 대한 자신감(sense of competence), 감성적 안정성(emotional stability), 긍정적 관계(positive relationships)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처럼 웰빙의 다차원적인 특징을 측정하는 것을 통해서 웰빙 프로파일의 주요 그룹이나, 국가간 차이점 등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었다. 특정한 개입(interventions)이나 정책에 의해서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받는지 등에 대한 향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

웰빙과 관련해서는, 저명한 경제학자인 거스 오돈넬의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이 있으면 측정하도록 하라”는 문구가 잘 어울린다.

book/positive_computing/expert_perspectives_-_technology_for_mental_health.txt · Last modified: 2016/07/12 15:44 by hkimscil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