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Tools

Site Tools


c:ma:2017:schedule:w05_assignment

This is an old revision of the document!


1. SNS 내의 동영상 기능은 잠재적 소비자들에게 유의미한 광고효과가 있을 것이다.
위 논문들을 바탕으로 확인한 결과 TV는 노출시간에 비례해 광고효과가 있었던 반면, SNS는노출시간에 비례해 광고효과가 없었다. SNS에는 다양한 기능들이 있다. 글쓰기 기능, 동영상 시청 기능 등등이 있는데 여기서 SNS의 기능을 동영상에 한정하면 TV와 다를바가 없을 것이다. 따라서 SNS의 동영상 기능과 광고효과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고 싶어서 위 가설을 세우게 되었다.

SNS 메시지의 유형에 따라서 광고 혹은 PR효과가 달라질까라는 연구문제가 흥미롭고

2. 광고모델의 SNS 활동이 그 광고모델이 홍보하는 상품에 영향을 끼칠 것이다.
SNS의 활성화로 연예인들도 SNS에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여기서 주목하고 싶은 점은 사람들은 과연 연예인을 연예인 그 자체로 보는지, 아니면 광고 모델로 보는지를 확인하고 싶었다, 예를 들어서 A라는 연예인이 있다고 하자. 이 연예인은 B 브랜드 광고에서는 C를 연기한다. 그런데 A라는 연예인이 SNS에 망언을 했다고 가정하자, 여기서 주목할 점은 망언을 한 사람은 어디까지나 A라는 연예인일 뿐, B 브랜드 광고에서의 C가 아니다. 잘못은 A가 했는데, 이 A의 잘못이 B 브랜드 광고에까지 영향을 미칠까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 가설이 검증이 된다면, 앞으로 광고모델의 계약은 SNS활동이 포함되는 것이라는 관행 혹은 계약조건이 생기도록 할 듯 합니다.

1. 관심사
국회의원은 크게 정당으로 구분되지만, 그 보다 구체적인 작은 집단 들로 구성되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국민의당 내에도 김대중 전 대통령의 직계 정치 세력인 동교동계, 민주당 출신 의원들로 이루어진 구민주계, 안철수를 중심으로 하는 친안계, 호남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천정배계, 정동영계, 박지원계등 다양한 계파가 존재한다. 그런데, 그저 언론에서 ‘xxx계’라고 표현한다는 이유만으로 해당 계파를 의미 있는 계파로 여기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의견의 일치가 강한 계파도 있을 것이고, 그렇지 않은 계파도 있을 것이다. 또는 특정한 사건으로 인해 계파의 응집 구조가 변화했을 수 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세간에 잘 드러나지는 않았지만, 강한 응집성을 가지는 정치인들의 네트워크가 존재할 수 도 있을 것이다.
계파가 존재한다면 각 계파에 속한 정치인들은 공동의 이익을 중심에 두고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할 것이다. 정치인들이 하는 가장큰 의사결정은 새로운 법안을 제시하거나 투표를 통해 법안을 통과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필자는 다음과 같은 의문을 가진다. “법안 입법 투표에서 찬성/반대의 경향이 유사한 사람들을 기준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지 않을까?”, “법안을 공동 발의한 정치인들을 연결한 네트워크를 통해 정치인 계파를 분석할 수 있지 않을까?”, “위 두가지 네트워크를 통해 드러난 정치인 계파가 현실의 언론에서 일컫는 계파와 어느정도 일치할까?”, “위 두가지 네트워크를 통해 드러난 정치인 계파가 학연, 지연, 정당, 지역구, 소속상임위, 사회 활동 경험 등과 어느정도 연관관계를 가질까?”

정치적 행위, 결정의 네트워크와
무슨 무슨 계열, 계파(혹은 지연, 정당 . . . .) 라는 네트워크 간의 상관관계

c/ma/2017/schedule/w05_assignment.1508114345.txt.gz · Last modified: 2017/10/16 09:09 by hkimscil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