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Tools

Site Tools


c:mt:2015:group_06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Previous revision
class:mt:2015:group_06 [2015/05/24 18:37] jaeyoung12c:mt:2015:group_06 [2016/07/01 15:05] (current) – ↷ Links adapted because of a move operation hkimscil
Line 2: Line 2:
 Diffusion of innovation: (1차 과제 : 이론 및 현상 채택/관련 논문 첨부) Diffusion of innovation: (1차 과제 : 이론 및 현상 채택/관련 논문 첨부)
  
-==== “Diffusion of innovation”이 흥미로운 이유 ====\\+==== “Diffusion of innovation”이 흥미로운 이유 ====
  
 미디어학부에서는 커리큘럼 자체가 개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즉, 대부분의 학과 수업이 참신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기술적인 과정을 통해 여러 가지 미디어 컨텐츠들을 개발하는 개발자를 키우는 데 큰 비중을 두고 있다는 뜻이다.  미디어학부에서는 커리큘럼 자체가 개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즉, 대부분의 학과 수업이 참신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기술적인 과정을 통해 여러 가지 미디어 컨텐츠들을 개발하는 개발자를 키우는 데 큰 비중을 두고 있다는 뜻이다. 
Line 8: Line 8:
 우리가 개발하게 될 기술에 대해 고려 할 때, 그 기술이 어떤 메커니즘으로 사람들에게 확산되는지, 기술의 어떤 특징이 사람들에게 인기를 끌 수 있는지, 더 나아가 기술이 어떻게 사람들의 생활의 일부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가 이루어 진다면, 일차원적인 단순한 개발자를 넘어서 사회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고차원적인 개발자, 혁신가로 발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개발하게 될 기술에 대해 고려 할 때, 그 기술이 어떤 메커니즘으로 사람들에게 확산되는지, 기술의 어떤 특징이 사람들에게 인기를 끌 수 있는지, 더 나아가 기술이 어떻게 사람들의 생활의 일부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가 이루어 진다면, 일차원적인 단순한 개발자를 넘어서 사회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고차원적인 개발자, 혁신가로 발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Diffusion of innovation” 현상에 대한 예시 ====\\+==== “Diffusion of innovation” 현상에 대한 예시 ====
  
 __스마트폰 vs 스마트워치__\\ __스마트폰 vs 스마트워치__\\
Line 18: Line 18:
 __1. 혁신의 확산 이론 (Diffusion of innovation theory)__\\ __1. 혁신의 확산 이론 (Diffusion of innovation theory)__\\
  
-{{:class:mt:2015:idt.jpg?500|}}\\+{{c:mt:2015:idt.jpg?500|}}\\
  
 혁신의 확산 이론(Diffusion of Innovations)은 Everett Rogers에 의해 만들어져 현재까지 발전해 온 이론이다. 사람들이 기술을 받아들일 때 사람마다 특정한 패턴으로 받아들인다는 생각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기술을 받아들이는 순서에 따라 사람의 패턴을 5종류로 분류했다. 혁신의 확산 이론(Diffusion of Innovations)은 Everett Rogers에 의해 만들어져 현재까지 발전해 온 이론이다. 사람들이 기술을 받아들일 때 사람마다 특정한 패턴으로 받아들인다는 생각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기술을 받아들이는 순서에 따라 사람의 패턴을 5종류로 분류했다.
Line 24: Line 24:
 __2. 기술 수용 모델 (Technology Acceptance Model)__\\ __2. 기술 수용 모델 (Technology Acceptance Model)__\\
  
-{{:class:mt:2015:tam.jpg?500|}}\\+{{c:mt:2015:tam.jpg?500|}}\\
  
 기술 수용 모델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은 기본적으로 User가 기술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바탕으로 만들어 졌다. 기술이 수용되는 기준은 유용성(유용함)과 용이성(편리함)이다. 인지된 용이성(Perceived Ease of use)과 인지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은 기술을 받아들이는 것이 쉽고 이 기술을 사용 하는 것이 자신에게 유용하다고 인지하는 것을 말한다. 유용성이 기술에 대한 태도와 사용 목적에 맞는 행동을 정하며 용이성은 기술에 대한 태도를 정한다. 이를 기반으로 기술의 채택이 이루어 진다. 기술 수용 모델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은 기본적으로 User가 기술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바탕으로 만들어 졌다. 기술이 수용되는 기준은 유용성(유용함)과 용이성(편리함)이다. 인지된 용이성(Perceived Ease of use)과 인지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은 기술을 받아들이는 것이 쉽고 이 기술을 사용 하는 것이 자신에게 유용하다고 인지하는 것을 말한다. 유용성이 기술에 대한 태도와 사용 목적에 맞는 행동을 정하며 용이성은 기술에 대한 태도를 정한다. 이를 기반으로 기술의 채택이 이루어 진다.
Line 30: Line 30:
 __3. Two-Step flow model theory__\\ __3. Two-Step flow model theory__\\
  
-{{:class:mt:2015:twostepflow.jpg?500|}}\\+{{c:mt:2015:twostepflow.jpg?500|}}\\
  
 Two-step flow model theory는 어떤 정보가 조직을 구성하는 개인에게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opinion leader에 의해서 정보가 받아들여지고 Opinion Leader의 견해가 추가 된 정보가 개인에게 2단계에 걸쳐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이다. 기술을 받아들이는 과정에 있어서 Early adopter가 Opinion Leader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Two-step flow model theory는 어떤 정보가 조직을 구성하는 개인에게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opinion leader에 의해서 정보가 받아들여지고 Opinion Leader의 견해가 추가 된 정보가 개인에게 2단계에 걸쳐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이다. 기술을 받아들이는 과정에 있어서 Early adopter가 Opinion Leader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Line 227: Line 227:
 ===== 혁신의 저항 이론(Innovation Resistance theory) ===== ===== 혁신의 저항 이론(Innovation Resistance theory) =====
  
-{{:class:mt:2015:혁신저항1.jpg?650|}}+{{c:mt:2015:혁신저항1.jpg?650|}}
  
 __ 내용 __\\ __ 내용 __\\
Line 250: Line 250:
 ===== 사회 네트워크 이론(Social Network Theory) ===== ===== 사회 네트워크 이론(Social Network Theory) =====
  
-{{:class:mt:2015:사회_네트워크_모델.jpg?500|}}+{{c:mt:2015:사회_네트워크_모델.jpg?500|}}
  
 __내용__\\ __내용__\\
c/mt/2015/group_06.txt · Last modified: 2016/07/01 15:05 by hkimscil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