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Tools

Site Tools


hypothesis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Both sides next revision
hypothesis [2020/03/25 15:06] hkimscilhypothesis [2020/03/25 17:47] hkimscil
Line 46: Line 46:
   * 가설은 선언문의 형식을 가져야 한다. 연구문제와 같이 의문문의 형식을 가질 수는 없다. 또한 가설은 두개 이상의 변인 (variables)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이어야 한다. 두 개 이상의 변인 간의 관계에서 말에서 관계는 보통  '''__''차이 (difference)''__''', '''__''관련 (association)''__''' 으로 표현된다. 이 두 개념은 말 그대로를 받아들이면 된다. 차이는 말그대로 어느 한 변인이 내포하고 있는 특성 간의 다른 변인에 대한 차이를 의미한다. 아래의 가설을 살펴보자.    * 가설은 선언문의 형식을 가져야 한다. 연구문제와 같이 의문문의 형식을 가질 수는 없다. 또한 가설은 두개 이상의 변인 (variables)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이어야 한다. 두 개 이상의 변인 간의 관계에서 말에서 관계는 보통  '''__''차이 (difference)''__''', '''__''관련 (association)''__''' 으로 표현된다. 이 두 개념은 말 그대로를 받아들이면 된다. 차이는 말그대로 어느 한 변인이 내포하고 있는 특성 간의 다른 변인에 대한 차이를 의미한다. 아래의 가설을 살펴보자. 
  
-가설1여성과 남성 간의 이타심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fs large>가설 1.</fs>** 여성과 남성 간의 이타심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위의 가설에는 두 가지의 개념이 (변인이) 있다. 첫번째 변인은 성으로서 (gender) 남성과 (male) 여성으로 (female) 이루어져 있다. 두 번째 변인은 이타심이라는 개념이다. 위의 가설이 주장하는 것은 성이라는 변인이 이타심이라는 변인에 영향을 준다는 것과 성 변인의 특성인 남성과 여성의 이타심의 크기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위의 가설에는 두 가지의 개념이 (변인이) 있다. 첫번째 변인은 성으로서 (gender) 남성과 (male) 여성으로 (female) 이루어져 있다. 두 번째 변인은 이타심이라는 개념이다. 위의 가설이 주장하는 것은 성이라는 변인이 이타심이라는 변인에 영향을 준다는 것과 성 변인의 특성인 남성과 여성의 이타심의 크기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가설 2신문기자의 경력과 뉴스생산의 다매체화에 대한 태도에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fs large>가설 2.</fs>** 신문기자의 경력과 뉴스생산의 다매체화에 대한 태도에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위의 가설 역시 두 가지의 변인을 포함한다. 첫번째 것은 신문기자의 경력이다. 두번째 것은 뉴스생산의 다매체화라는 변인이다. 이 둘간에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함은 경력이 오래된 기자일 수록 뉴스생산품으로서 (글로 쓰는) 기사 외의 생산활동에 낮은 참여율을 보일 것이고, 경력이 짧은 기자일 수록 다양한 포맷의 뉴스상품의 제작에 협조적일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이는 두 변수가 서로 관련이 (association) 있다는 것을 선언하는 가설이다. 위의 가설 역시 두 가지의 변인을 포함한다. 첫번째 것은 신문기자의 경력이다. 두번째 것은 뉴스생산의 다매체화라는 변인이다. 이 둘간에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함은 경력이 오래된 기자일 수록 뉴스생산품으로서 (글로 쓰는) 기사 외의 생산활동에 낮은 참여율을 보일 것이고, 경력이 짧은 기자일 수록 다양한 포맷의 뉴스상품의 제작에 협조적일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이는 두 변수가 서로 관련이 (association) 있다는 것을 선언하는 가설이다.
 사실 위의 두 종류의 가설의 구분은 뚜렷하지 않다. 특히 아래의 가설은 위의 형태로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사실 위의 두 종류의 가설의 구분은 뚜렷하지 않다. 특히 아래의 가설은 위의 형태로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가설 3경력이 오래된 신문기자와 짧은 경력의 기자 간에는 뉴스생산의 다매체화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fs large>가설 3.</fs>** 경력이 오래된 신문기자와 짧은 경력의 기자 간에는 뉴스생산의 다매체화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위의 가설은 첫번째 가설과 똑같은 형식을 띈다. 다만, 여기서는 경력이 많은 사람과 적은 사람의 2가지로 분류하여 뉴스생산의 다매체화에 대한 차이를 선언하는 형식을 갖는다. 두번째와 세번째 가설은 모두 같은 변인을 갖는다. 차이점은 가설2는 "경력"을 수치화하여 뉴스생산관행에 대한 태도와의 상관관계를 보려는 것이고, 가설3의 경우는 "경력"을 이분화하여 두 그룹 간의 뉴스생산관행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보려고 하는 것이다.  위의 가설은 첫번째 가설과 똑같은 형식을 띈다. 다만, 여기서는 경력이 많은 사람과 적은 사람의 2가지로 분류하여 뉴스생산의 다매체화에 대한 차이를 선언하는 형식을 갖는다. 두번째와 세번째 가설은 모두 같은 변인을 갖는다. 차이점은 가설2는 "경력"을 수치화하여 뉴스생산관행에 대한 태도와의 상관관계를 보려는 것이고, 가설3의 경우는 "경력"을 이분화하여 두 그룹 간의 뉴스생산관행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보려고 하는 것이다. 
  
hypothesis.txt · Last modified: 2023/09/07 10:28 by hkimscil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