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Tools

Site Tools


방송의_사회적_영향

This is an old revision of the document!


방송과 생활

방송 이용시간

  • 2012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 결과 하루 평균 189분 (약 3시간)
    • 일상에서 필수적인 매체 TV(53.4%), 스마트폰(25.0%), PC/노트북(18.6%) 순 (in 2012)
    • 그러나,
        • 조사결과, 일상에서 스마트폰의 중요도는 전년 43.9%에서 지난해 46.4%로 높아졌다. 반면 TV의 중요도는 44.3%에서 44.1%로 0.2%포인트 떨어져 스마트폰에 처음으로 뒤졌다.
          연령별로 보면 10대(67.9%), 20대(69.5%), 30대(63.0%), 40대(54.1%) 등은 스마트폰을 가장 필수적인 매체로 선택했다. 50대와 60대 이상은 TV를 필수매체로 꼽은 비율이 각각 57.0%, 86.6%로 스마트폰보다 많았다.

      • 같은 뉴스 다른 뉴앙스 KBS 뉴스 1)
    • 방송시청의 행위가 스마트 폰으로 옮겨갔을 수도
    • media_use.jpg
    • media_use_a_day.jpg
  • 엄청난 방송 시청 시간의 의미 - 방송이 개인과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방송은 특정한 프로그램을 통해 또 누적된 시청 결과 우리의 언어, 사고, 문화, 행동 등 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방송 프로그램과 생활

  • 일주일 단위 편성 및 계절에 따른 개편은 생활주기와 일치

생활시간별 방송 유형 이용

  • 시간대별 매체 이용률
    • 지상파TV는 저녁 9-10시,
    • 케이블TV와 IPTV는 저녁 10~12시,
    • 라디오는 오전 7~9시에 이용률이 가장 높음
    • 지상파TV 이용률의 경우
      • 저녁 9시대 44.7%,
      • 아침 8시대 15.6%로
    • 케이블TV 등 타매체에 비해 12배 이상 높은 반면,
    • 오후 2시대에는
      • 케이블TV 이용률이 3.6%로
      • 지상파TV(1.2%)보다 3배 정도 높음
  • 방송은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 동시에 라이프스타일에 영향을 주기도 함

여가의 변화와 TV홈쇼핑의 확대

  • 텔레비전 시청 시간의 증가는 다른 활동 시간의 감소 초래:
    • 오락 스포츠 등의 활동의 감소
    • 사회적인 활동의 시간이 감소하고 혼자 (시청하는) 있는 시간이 많아짐
  • 또한 방송은 판매와 소비 행태를 변화 시킴
    • 홈쇼핑의 등장과 확산은 상품의 판매와 소비에서 방송의 비중을 확대시킴
    • 향후 디지털화에 따라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되면 영향력 확대 예상
    • 그러나, TV 매체보다 다른 매체를 이용한 쇼핑에 친숙한 세대가 TV 쇼핑을 버릴 수도 있음. TV 매체가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어떤 형식의 서비스나 상품을 제시할 것인가에 초점을 두어서 분석, 예측해야 할 것.

  •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IPTV 등 유료방송 가입 가구는 조사대상의 89.1%

방송의 기능

환경감시 기능

  • 우리가 살고 있는 환경의 문제점을 파악해서 신속하게 해결하도록 도와주는 것 (뉴스, 토론, 보도, 도큐멘타리 등의 포맷을 통해서)
  • 사회의 유지와 발전에 기여하고, 개인의 안전 도모와 생활 향상, 복지 증진에 기여
    • 사회 안전과 발전을 위협하는 요인을 알려주어 예방하도록 돕거나 사고의 신속 보도로 피해 최소화
    • 일기예보, 교통정보 등 다양한 생활정보 제공
  • 환경감시에 소홀할 경우 사회 발전을 가로막거나 기존 체제를 유지하는 이데올로기 효과로 비판

해설 처방 기능

  • 사회적 현안을 다루는 과정에서 이해갈등을 해소하는 사회통합 기능을 수행
  • 새로운 정보가 얼마나 중요한지 평가하고,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사회와 구성원이 해결하도록 도움
  • 방송은 사회를 유지시키는가? 아니면 변화시키는가?
    시장의 아주머니는 방송을 보면서 어떤 영향을 받는가? p.231

문화 전승과 사회화 기능

  • 공동체가 갖고 있는 사상, 가치, 기술, 지식 등을 세대별로 학습하고 전승시키는 것
  • 문화전승과 사회화의 주체가 부모와 친족, 스승에서 매스미디어로 변화
    • 공동체의 mass화 – 획일적 문화 형성 및 사회화 방식 통일
  • 방송을 통해 시청자는 사회에서 지켜야 할 규범이나 가치관을 수용하여 사회의 일원으로 역할하는 사회화가 이루어짐

오락 기능

  • 다른 매체에 비해 가장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기능
    • 긴장 해소와 심리적 불안감 감소, 즐거움
  • 시청자의 저급한 욕구와 취향 충족에 치중할 경우 불건전한 문화 조장 우려

방송의 사회적 쟁점

시청률과 문화적 저급화, 소비문화

방송의 시청률

  • 시청자의 규모를 나타내는 시청률은 방송사의 수입에 직접적 영향
  • 방송의 제작과 시청자의 수용, 이를 뒷받침하는 기업의 광고 사이에 이루어지는 교환관계
  • 시청자 확보를 위한 노력 - 스타 등장, 갈등 관계 부각, 자극적인 뉴스

문화수준의 저급화

  • 더 많은 시청자를 확보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제작 과정에서 흥미를 자극하는 소재를 찾게 되고 이는 공중의 취향을 저급화 – 삼각관계, 불륜, 배신과 복수 등 2)
  • 방송은 고급문화를 일반 대중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청자들의 공감을 위해 순수예술적 취향을 저급화
    • 방송의 대중 지향으로 예술은 수용자를 확대할 수 있으나 고급예술은 순수성을 희생하고, 이윤창출이라는 상업성을 채택하여 대중의 저급한 취향에 종속
    • 대중의 저급한 취향? Who decides what's better for the public?

소비문화

  • 방송은 광고와 프로그램을 통해 소비에 영향
    • 광고 : 소비자의 욕망을 직접적으로 자극하고 소비로 유도
    • 드라마와 오락 프로그램 : 방송에 등장한 상품과 그 영향에 주목, 간접적으로 소비문화를 형성
  •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률이 높을수록 소비문화의 효과도 커짐

사회의 편견과 비현실성

고정관념(편견)의 형성

  • 방송 내용이 시청자에게 쉽고, 빠르게 전달되기 위해 등장인물의 전형적 이미지가 형성되고, 반복적으로 활용
  • 특정 계층/직업/지역에 대해 편향되게 묘사할 경우 시청자의 편향된 인식이 고착화되고 해당 계층 등은 불이익을 받을 가능성
  • “어두워서 안 계신 줄” TV방송이주민에 차별적 표현 적잖다

    '다문화 아동' 지칭도 차별. 인권위, 개선권고

    “(피부색이 어두워) 사람이 안 계신 줄 알았어요.” (2013년 7월 8일 KBS2 TV '대국민토크쇼 안녕하세요'사회자가 아프리카 출신 유학생) “꽃제비들이 10달러 내지 100달러에 중국에 팔려 간다. 우리 나라에 들어온 탈북 여성 중 85%가 성병을 갖고 있다.” (2013년 5월 6일 JTBC '뉴스 콘서트' 출연자)

    10일 국가인권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5~10월 4개 지상파방송과 4개 종합편성채널의 35개 TV프로그램을 모니터한 결과, 인종적·문화적 편견을 조장하거나 한국문화를 지나 강요하는 등 문제가 드러났다. 인권위는 이날 방송사들에 이주민과 외국인에 대한 차별적 표현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라는 권고안을 보냈다.

    또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는 프로그램 심의 시 이런 내용에 유의할 것을 권고했다.

    인권위 관계자는“이주민이 150만 명을 넘은 상황에서 뉴스나 오락 프로그램 등 사회적 파급력이 큰 방송에서 이주민에 대한 편견이 드러나는 표현이나 차별적 용어를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밝혔다.

    인권위는 권고안에서 '검은 머리 외국인'이나'푸른 눈 외국인'같은 표현도 신체 특정 부분의 색을 인종과 연결시켜 자칫 편견을 조장하거나 고정관념을 고착화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법률·정책적 용어로 사용하고 있지만 다양한 이 주 배경을 가진 아동들을 굳이'다문화'로 구분해 지칭하는 것 역시 차별이라는 견해도 제시했다.

    인권위는 또 인종차별 해소 의도로 제작한 프로그램에서 한국어가 유창한 외국인 출연자가 욕을 구사하게 한 것이 오히려 특정 국가나 인종에 부정적 인식을 줄 수 있고,인종차별 실태를 비판하면서 결혼이주여성 등에 대한 욕설이 긴 인터넷 게시물을 노출한 것은 과도한 사생활 침해라고 지적했다.

    인권위는 2012년'이주인권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관련 부처들에 배포한 후 이행 여부를 살피고 있다.

    안아람 기자 oneshot@hk.co.kr

비현실성: 환상과 현실도피

  • 텔레비전에 대한 과도한 몰입에서 발생하는 역기능
  • 현실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를 방송 안에서 해결한다는 허위의식을 갖게 되며, 이는 현실감을 마비시키는 마취 효과에 해당
  • 방송의 지향 가치는 환상이나 현실도피가 아닌 참여가 바람직

어린이와 청소년에 대한 영향: 폭력, 성

폭력

  • TV에 담긴 폭력적 장면이 어린이와 청소년에 대해 공격성을 증대시킴
  • 미국의 경우 폭력적 장면이 담긴 프로그램의 시청을 막는 V칩을 텔레비전에 설치
  • 폭력적 행동 욕구 해소(카타르시스 이론) vs 폭력적∙공격적 행동(자극 효과 이론)
  • Gerge Gerbner 연구 – Cultivation theory

  • 방송의 성적 장면도 폭력과 유사한 영향
  • 방송은 폭력과 성적 장면의 포함 정도에 따라 시청 가능 연령 표시
  • 시청률 압박으로 선정적 표현을 할 경우 청소년의 성적 인식에 부정적 영향
  • 사회적 윤리와 가족의 가치 훼손 우려

방송 접근의 한계

경제적 격차

  • 방송은 보편적 복지의 대상
  • 방송 수상기 및 유료 콘텐츠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경제적 격차 발생
    • 경제적 격차가 지식 격차 초래(지식 격차와 빈부 격차의 순환관계)

미디어 리터러시

  • 미디어 접근 능력 향상 - 미디어의 기술적 이용이 원활하도록 미디어 리터러시 필요
  • 미디어 수용 -
    • 문화 수준 저급화,
    • 고정 관념,
    • 현실도피 등의 부작용 최소화를 위해 방송 내용의 적절한 평가, 비판 능력 배양이 필요
  • 비판 능력 제고

방송의 효과에 관한 이론

마법의 탄환 이론

  • 1920년대 라디오의 등장이 광범위한 수용자에게 동시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고 곧바로 영향을 미치는데 주목해 등장
  • 피하주사 이론, 자극-반응
  • 대중은 익명은 집단으로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이 부족하여 수동적이고 대중매체에 쉽게 영향을 받는 존재

이단계 유통 이론

  • 방송의 영향이 제한된다는 약효과 이론 또는 제한효과 이론(limited effect theory)이 대표적
  • 수용자는 상호작용을 통해 정보를 획득하고, 판단하는 능동적인 존재

의제 설정 이론

  • 방송의 영향이 다시 강하다는 강효과 이론의 재발견이 1960년 전후로 등장
  • 매스미디어가 강조하는 주제를 수용자가 중요한 의제로 인식

배양효과 이론

  • 수용자는 방송이 전달하는 사회 현실을 온실 속의 화초처럼 배양하고, 방송 내용 그대로 흡수

이용과 충족 이론

  • '미디어가 무엇을 하느냐' <미디어 중심>
  • '수용자들이 미디어로 무엇을 하느냐?' <수용자 중심>
  • 수용자가 능동적이고 목적 지향적인 존재임을 가정하고 스스로의 욕구 충족을 위해 미디어를 선택해 이용

침묵의 나선 이론

  • 매스미디어가 선거에서 유권자의 심리와 연관되어 투표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
  • 유권자가 지지하는 정당과 후보가 매스미디어에 의해 다수의 지지를 받는다고 보도될 경우 스스로의 입장을 적극 밝히는 반면, 소수의 지지를 받는다고 보도되면 사회적 고립감을 회피하기 위해 자신의 입장을 드러내지 않음
  • 매스미디어가 강력한 효과를 내는 이유는 누적성, 편재성, 일치성의 결합

틀짓기 이론

  • 미디어가 제공하는 뉴스 정보의 제시 방식, 즉 틀에 따라 수용자가 뉴스를 학습
  • 틀은 문제를 정의하고, 원인을 진단하고, 독자적으로 판단하고, 개선책을 제시하는 등 특정한 시각을 선택해서 두드러지게 보여줌으로써 독립된 하나의 사건을 특정한 방식으로 해석하도록 만듦

점화효과 이론

  • 미디어는 수용자의 특정 시각을 확대시키는 점화효과를 일으킴
  • 미디어의 폭력에 대한 영향에 대해 사람들이 폭력 영화의 장면을 보면서 폭력과 관련된 생각이나 평가를 폭발적으로 제기하거나 활성화하고, 이에 따라 폭력을 사용할 가능성을 증가

제3자 효과 이론

  • 미디어 메시지가 본인을 제외한 타인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고 과대평가하는 경향

사회학습(모방)효과 이론

  • 텔레비전의 효과가 크다고 설명하는 이론
  • 텔레비전은 출연자의 패션과 사교 행동, 성 역할은 물론 새로운 행동 양식을 전달하는 강력한 힘을 갖고 있음

한류와 방송의 세계화

한류와 방송 콘텐츠의 유통구조

  • 2012년 11월 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가 유튜브에서 8억 건을 돌파해 모든 카테고리 중 ‘가장 많이 본 동영상’ 순위 1위 기록. 2013년 1월 12억 건 돌파
  • 영상 콘텐츠는 인터넷 동영상 사이트를 통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고 전 세계에 음성과 이미지를 전달, 글로벌 방송 문화 창조
    • 영상 콘텐츠의 경우 문자와 소리 전달 위주의 신문, 잡지, 라디오와 달리 내용을 이해하는 언어적 장벽이 낮음
  • 영상 콘텐츠의 주요 미디어인 텔레비전과 인터넷이 세계적 시장을 형성함에 따라 글로벌 미디어 기업은 다양한 나라에 텔레비전 채널을 확보하고 프로그램을 제공
    • 문화 창조, 프로그램과 광고 판매를 위한 수익 증대
  • 문화적 차이가 있는 다른 국가의 시청자에게 수용 정도가 떨어지는 문화적 할인(cultural discount) 현상을 낮추는 제작 방식 선택으로 방송 콘텐츠의 글로벌 시장 형성
    • 방송 콘텐츠의 주제와 상황 설정에서 문화의 특수성이 약화되고 보편적 형식과 장르 형성

글로벌 방송과 민족적 문화 정체성

  • 글로벌 방송은 민족, 종교, 인종, 문화, 언어의 벽을 넘어 시청자를 창출
  • 세계의 시청자는 지리적 구분에서 벗어나 방송 프로그램의 수용과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신분 획득
  • 글로벌 방송은 가치중립적 기술이지만 프로그램 내용에 글로벌 방송 프로그램 제작 집단의 가치 포함
  • 민족적 문화 정체성 전망(스튜어트 홀)
    1. 문화적 동질화와 포스트모던 현상의 영향으로 민족정체성 약화
    2. 세계화에 대한 저항으로 민족적 정체성 강화
    3. 민족적 정체성이 쇠퇴하고 새로운 혼합적 정체성 등장
  • 세계 문화 시대에도 민족적 문화 정체성은 다양하게 대응
    • 세계 문화의 수용 속에서 민족적 정체성이 약해지기도 하지만 조화를 이루거나 또는
    • 세계 문화에 저항하며 꿋꿋이 고유의 문화를 유지하기도 함

Qs and As

? Q. 초등고등학교 학생들의 음악소비 행태에 변화가 필요할까? 필요하다면 어떤 변화가 필요할까? 필요하지 않다면 왜 그러한가
: A. 
3)
… 현재 한국의 음악산업 역시 구조적으로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외국과는 다르게 대중들에게 음악의 전파에 있어 막강한 힘을 가진 지상파 TV의 음악 프로그램들은 그 규모가 축소되었지만, 여전히 큰 힘을 발휘한다. 한 때 케이블 TV와 인터넷과 같은 매체가 지상파 TV가 도외시하는 다양한 음악들의 창구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란 기대와 달리, 지금의 케이블은 한 대기업의 독점 상태가 되어 또 다른 지상파 TV가 되고자 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음원 사이트 역시 거대 통신 사업자들이 모바일 사업과 연계한 수익 사업이 되어버렸다. 이와 같은 음악산업 구조는 결국 다양성이 존재해야 할 대중음악의 획일화를 가지고 왔으며 그 문제는 특정 장르와 소비자, 기획사에 대한 편중 현상으로 나타난다.
4)
Q. 생산자 입장에서 벗어나 소비자의 소배태도와 행태에는 어떤 문제점이 있을지 생각해 보자.
방송의_사회적_영향.1509580753.txt.gz · Last modified: 2017/11/02 08:29 by hkimscil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