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Tools

Site Tools


social_information_processing

This is an old revision of the document!


참조. Theories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1).

해당 이론이 등장하기 전에 활발하게 연구되던 경향에 대한 비판에서 시작되었다. 연구의 경향은 Lack of Social Cues, Social Presence Theory, Media Richness 등과 같이 불렸는데, 이 연구들이 공통적으로 갖는 특징은 “메시지를 전달하는 능력”이 매체 자신에 내재한다는 가정을 한다는 점이다. 이에 반해, SIP은 매체가 무엇을 전달하는가는 사용자가 매체를 사용하면서 발현된다고 주장한다. 초기 월더가 드는 개인간 상호 관계 발전과 관련된 일례는 CMC 또한 F2F 만큼의 “효과”를 볼 수 있는데, CMC가 매체가 갖는 단점이 극복되기 위해서 좀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CMC에서 어렵다고 생각되는 nonverbal cue는 :-) :-/ 등과 같은 수단의 생성과 발전을 불러왔으며, 이 신호들의 사용으로 인해 CMC의 성격은 변화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Intimacy(친밀한 관계)의 발전이 온라인에서는 어렵다는 의견은 시간을 고려한다면 틀린 것이 된다. 월더는 여기서 더 나아가서 온라인 매체가 갖는 특성은 사용자가 발현하는 사회성과 결합하여 다양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 그 중 하나가 Hyperpersonal Model이다. 이는 1) Sender의 Selective-Presentation; 2) Receiver의 Over-attribution of Similarity; 3) Asynchronous channel의 운용 (Communicate in your own time); 4) Self-fulfilling Prophecy 등을 통해서 나타난다고 한다.

Viral marketing: Or “creating a process where interested people can market to each other”, is used to influence the adoption and use of products and services. Viral marketing occurs largely through CMC interpersonal influence, most commonly through online social networks. Social information-processing theory views the social network as “an important source of information and cues for behavior and action for individuals”. Compared to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hrough a face-to-face social network, the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argues the CMC interpersonal communication of viral marketing achieves greater influence due to many factors, including: the ability to influence a large number of individuals (for example, through multiple email recipients), minimal effort to influence (in terms of reach and ease of information sharing), the ability for synchronous, as well as asynchronous communication and the ability to adopt influence strategies based on real-time feedback 2).

Social_information_processing_(theory)

Qs

? __Q 1.__ 
: 온라인에서의 입소문(viral) 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오프라인에서 보다 신속하고, 왜곡 또한 적다고 하겠다. 또한 이런 입소문의 효과가 시간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최근의 뉴미디어 등장과 관련이 있다고 하겠다 (블로그 -> 트위터 & 페이스 북). 그렇다면, 블로그와 "트위터 혹은 페이스북"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어떤 매체가 더 효과적일까? 효과의 크기와 지속성에 차이가 있을까?
2)
Subramani, Mani R.; Rajagopalan, Balaji (1 December 2003). “Knowledge-sharing and influence in online social networks via viral market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46 (12): 300. doi:10.1145/953460.953514
social_information_processing.1431910717.txt.gz · Last modified: 2015/05/18 09:58 by hkimscil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