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사 입사를 준비하면서 날이면 날마다 TV만 보던 시절이 있었고, 그 땐 늘 이런 생각을 했었습니다. “내가 발로 만들어도 저것보단 재밌게 만들겠다.” 그러나 실제로 PD라는 이름을 달고 프로그램 제작에 눈곱만큼이나 관여해 보니 이게 생각보다 쉬운 일이 아닙니다. 변덕스러운 시청자의 취향을 늘 따라가야 하고, 제작비는 적게 들여야 하고, 스타를 섭외하기란 하늘의 별따기입니다. 누군들 정우성, 전지현을 데리고 돈 쌓아놓고 프로그램을 하고 싶지 않겠습니까?
나영석, PD and HOW
형식 1
프로그램 제목
기획의도
의도하는 목적
예상 시청자
대략의 구성방법 제시
제작방법
구성 및 내용
구체적이어야 할 것
X “연예인과 일반인이 게임을 통해서 승패를 가리고, 패자에게는 벌칙을 준다”
O “연예인 5명과 일반인 5명이 끝말잇기 게임을 해서 이긴 팀에게는 국어사전을 주고 진 팀은 받아쓰기 숙제를 한다”
기타 (시청 타깃틍 및 방송 시간대)
형식 2
프로그램 제목
방송일시
타겟 오디언스 규정
이로 인한 프로그램의 내용과 성격 규정
이로 인한 출연진 선정 규정
방송형식
프로그램 포맷
스튜디오 | 야외녹화
생방송 | 녹화방송
공개 | 비공개
기획의도
프로그램의 필요성 +
시청효과 제시
독창적 특징
주요내용
주요출연자
예산
작가료
출연료
음악제작 혹은 저작관료
장소, 장비 대여료
기획안의 내용
새로울 것
재미있을 것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할 것
예
연습방법
우선 전문분야를 좁힐 것: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기획안을 직접 써 볼것
TV 프로그램을 많이 시청할 것
부분 테스트 (사람들과 대화하여 유사 진행을 해보는 연습)
하루에 하나씩 소재를 정하고 거기에 맞추어 기획안을 써보기
가치창출의 관점에서 보는 기획
상호텍스트성 (intertextuality) by Julia Kristeva
트랜스미디어 (trans-media)
다양한 미디어플랫폼을 통해서
독립적으로 전개되는 콘텐츠(스토리)가
전체 스토리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개별을 즐기면서 전체를 찾아 즐기도록 한다.
-
웹툰을 보았다고 해서 드라마에 손상이 가는 것이 아닌
원작의 뛰어난 완성도를 드라마 플랫폼에 최적화한 작업으로 성공
또한
즉, 별개의 이야기를 하나의 이야기 울타리에 넣어서 엮어감
다른 예, 웹툰-드라마-영화 작업사례
-

미생 드라마에서 광고로 프랫폼의 변화, 그러나 같은 울타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