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Tools

Site Tools


measurement

측정 (Measurement)


측정이라 함의 위의 그림에서와 같이 연구와 관련된 개념들에 대한 소개와 정의, 그리고 변인으로서의 측정 등에 대한 준비와 실행을 말한다. 이는 크게 보면 개념화와 (conceptualization) 조작화에 대한 (operationalization) 전반적인 내용을 말한다.

그 중에서 개념화는 구상 혹은 착상 (conception), 조작화 (conceptualization), 그리고 결과로서의 개념을 (concept) 포함한다.

Conception:
Conceptualization:
Concept:

  • 좋은 UI란 (user interface) 무엇인가?
  • 좋은 UI를 구성하는 것은 무엇인가?
    • 이쁜것, 아름다운 것 (심미성 aesthetic)
    • 사용하기 편한것 (용이성 easeness)
    • 유용한 것 (usefullness)
    • 원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것 (functionality)
    • . . . .
  • 어떻게 얻는가? 아는가?
    • 직접관찰 (사과의 색깔, 질문에 한 체크표시)
    • 간접관찰 (역사책, 기록, 이메일, 등등)
    • 직,간접적으로 관찰은 어렵지만 관찰에 기초하여 이론적으로 만들어 내는 구상물 (construct)
      • IQ: 수학적능력, 공간적능력, 언어적능력, 논리적능력
  • 이를 통해서 심미성이라는 개념을 다듬고 설명할 수 있도록 함 (개념: concept)
    • 개념은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정신적이미지로 설명되는 구상물

—-

  • 그렇다면 유용성이란 무엇인가? (conceptualization)
    •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유용하다고 하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사람들에게 어떻게 통용되고,
    • 이와 관련된 연구에서는 어떻게 사용되었는가?
    • 나의 연구에서는 왜 이 개념이 중요한가?
    • 나의 연구에서는 어떤 뜻으로 사용할 것인가?
    • 개념화는 . . . 특정한 용어를 사용할 때,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확하게 구체화하는 과정이다 (바비, p.254).
    • 지표: 유용성을 가르키는 사회적 징표들. 만약에 이런 징표들을 10개를 모았다고 가정하면, 네이버 UI는 이 열개 중에서 몇개를 만족하는가를 알아볼 수 있고, 구글의 UI는 몇 개를 만족하는지 알아볼 수 있다. 이런 지표로 유용성의 크기를 (양적으로 측정된, 양화된) 알아볼 수 있다.
    • 차원: 유용성을 알아볼 때 나눠볼 수 있는 개념의 측면들
      • 예, 사회적, 종교적, 지위적, 테크놀로지에 대한 유용성, 개인의 능력에 대한 유용성, . . . .
      • 범죄에 대한 두려움 (Jackson, J. 2005, p.301) 이라는 개념에 대한 차원
        • 살고 있는 동네에서 세가지 대인범죄와 두가지 재산범죄의 피해자가 될 수 있다고 걱정하는 빈도(정도)
        • 범죄의 피해자가 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평가
        • 이를 제어(피하거나 없애는 것)할 가능성에 대한 평가
        • 범죄결과의 심각성에 대한 생각
        • 범죄 발생빈도에 대한 인식(믿음)
        • 이웃, 사회의 (일반적인) 무례함에 대한 인식
      • 집단학살에 대한 개념적 정의
        • UN의 정의 . . . . 이에 반하여
        • 편의, 복수, 두려움, 정화 등의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행위라고 규정한 연구가 있음

—-

  • 유용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무엇을 할 것인가 (operationalization): 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유용성은 (혹은 집단학살은) 논의를 통해서 구체화되었을 뿐, 측정할 수 있는 무엇이 된 것은 아님.
    • 예, 사회계급
      • 개념화: 사회계급이란 개념에 대한 논의. 상이한 의미, 차원, 지표 등에 대한 논의
      • 명목적 정의: 이 연구에서는 사회계급을 경제적 차이 특히 소득을 대변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 조작적 정의: 경제적차이를 “작년에 귀하의 세적 연소득은 얼마입니까?”라는 설문질문으로 측정한다.
      • 실제측정: 조사원의 위의 질문을 하고, 답을 적는다.
    • 측정의 범위에 대한 고려
      • 연소득이 수십억 이상인 사람을 어떻게 할 것인가?
    • 얼마나 정밀하게 물어볼 것인가? 이는 측정의 수준문제로 연구자로서 내가 알아야 될 정보로 얼마나 정밀한 내용이 필요한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정확히 얼마를 벌었는지를 원단위로 물어본다.
      • 범주를 제시하고 이 중에서 하나를 고르도록 한다
        • 0에서 500만원 미만
        • 500만에서 1500만원 미만
        • . . . .
      • NOIR에서 아래로 고쳐서 사용할 수는 있지만 위로 소급해서 올라가서 사용될 수는 없다. (level of measurement)
        • Nominal –> Interval (x)
        • Interval —> Nominal (o)
    • 차원에 (측면) 대한 고려
      • 유용성: 업데이트주기, 원하는 것을 얻는 정도, 어디에 무엇이 있는가에 대한 인지, . . . . (차원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자체도 존재: factor analysis)

신뢰도
타당도
지수
척도
유형

measurement.txt · Last modified: 2020/05/06 22:11 by hkimscil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